일자리는 최고의 복지라고 한다. 이 말이 맞다면 건설업은 우리나라 복지형성에 상당한 기여를 해온 산업이다. 건설업은 지난 2016년 한 해 동안 새로운 일자리를 가장 많이 만들어냈기 때문이다.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만들어진 일자리 209만1000개 중 60만5000개(17%)가 건설업에서 창출됐다. 도·소매업(15.8%), 제조업(14.9%)보다 많다.

그러나 건설업의 이같은 고용 창출이 앞으로도 이어질지는 장담할 수 없다. 내년 건설업이 올해만 못할 거라는 예측이 잇따르기 때문이다. 산업연구원은 내년도 건설투자가 올해보다 0.5% 감소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건설투자는 올해 6.5% 늘어났지만 내년 상반기에는 ?1.3%까지 급감하고 하반기에는 성장할 것이나 전체적으로는 그만큼 후퇴한다는 거다.

매달 공표되는 건설산업연구원의 건설기업경기실사지수(CBSI)도 내년 전망을 어둡게 보고 있다. 12월 CBSI 전망치는 전달 실적치(78.2)보다 2.1포인트 하락한 76.1을 기록했다. CBSI가 100을 밑돌면 현재 건설 경기 상황을 비관적으로 보는 기업이 낙관적으로 보는 기업보다 많다는 것을 의미하며 100을 넘으면 그 반대를 뜻한다.

건설경기의 선행지표인 건설수주는 2018년 133조원을 기록해 2014년(107조5000억원) 이후 최저치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5년 이후 지속된 건설수주 호황이 내년에 종료되고 2~3년간 하락세가 이어질 것이란 예상이다.

해외에 기댈 수도 없다. 해외건설협회에 따르면 국내 건설사들의 해외 수주액은 5일 기준으로 242억 달러 수준이다. 올해도 300억 달러 수주에 못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6일 통과된 내년도 예산안에서 SOC예산이 14.2% 감소한 것도 우울하다. 당초 20%나 삭감키로 한 정부안보다는 삭감 액수가 줄기는 했으나 건설업의 신규 고용창출에 어두운 그림자를 드리운 건 매한가지이다.

이런 상황에서 국토부가 내년 3월까지 확정할 ‘국토교통 일자리 로드맵’에 관심을 두지 않을 수 없다. 로드맵 작성 주체인 ‘국토교통 일자리 협의체’는 장관이 위원장을 맡고 6개 분과위에 국토교통과 경제, 산업, 고용 분야 전문가 30여명이 참여해 국토교통 분야에서의 일자리 창출 방안에 대한 의견을 개진할 계획이라고 한다.

이제 첫걸음을 뗀 협의체가 네 달 뒤 내실 있는 청사진을 내놓으려면 반드시 염두에 둘 것이 있다. 일방적 결정과 지시가 아닌 열린 소통으로 협의체를 운영해야 한다는 점이다. 10월 범정부 일자리 창출 로드맵 발표 이후 중견기업협회도 비슷한 요구를 발표한 바 있다.

이 협의체는 “로드맵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기업 현장의 현실과 정책의 이상이 괴리되지 않도록 만전을 기해 줄 것”을 주문했다. 예를 들면, 최저임금 1만원 달성, 주 52시간 근로 확립 등 일자리 ‘질’ 개선을 위한 원칙이 일자리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한 균형 잡힌 시각이 필요하다는 말이다. 이런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는다면 건설업은 다시 일자리 복지의 원천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그 주인공은 국토교통부가 될 것임도 분명하다.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