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도시재생 뉴딜사업에 발맞춰 ‘모듈러(modular) 건축’이 활성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 토지주택연구원은 ‘모듈러 건축시스템 기반 공공주택의 개발방향’이란 주제로 지난 14일 서울 중구 페럼타워에서 세미나를 열었다.

세미나에서 전문가들은 그동안 소규모 임대주택, 교육‧병영 시설 등에 주로 적용됐다면 앞으로는 재난구호용 주택, 도심 정비사업에 따른 순환형 임시주택 등으로 그 활용도가 높아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날 LH 이의영 주택개발단장과 천영수 연구위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임석호 선임연구위원 등은 모듈러 건축과 관련한 최신기술과 현황을 주제 발표했다.

이의영 단장은 “모듈러 주택이 공공리모델링, 마을정비형 공공임대주택, 빈집정비, 청년임대주택 등에 적용될 수 있다”며 “특히 도심 정비사업시 원주민의 재정착을 위한 순환형 주택, 재난‧재해로 인한 긴급지원주택 등으로도 활용 가능하다”고 말했다.

다만, 제작 오차를 설계에 고려하고 표준 구조시스템 및 접합부위에 대한 상세한 개발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 표준평면 적용, 품질시험 간소화, 발주방식의 변화도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모듈러주택이란 주택의 주요 구조부를 공장에서 미리 생산하고 현장으로 운반해 설치‧조립하는 공장생산건축이다. 일반 콘크리트조 주택에 비해 공기가 크게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주택법에서는 공업화주택이란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모듈러 공법은 박스를 쌓는 적층 구조와 구조체에 박스를 넣는 인필(INFILL)식 구조로 구분된다. 적층 구조는 다시 기둥과 보가 하중을 받는 라멘식, 벽체가 하중을 받는 벽식 유형으로 나뉜다.

모듈러 주택은 대학생 임대주택‧공공기숙사, 지방 공공기관 합숙소, 남극 제2기지에 적용됐고 최근엔 평창올림픽 조직위원회 사무소에도 활용됐다. 또 포항지진의 피해주민을 위한 긴급지원주택으로 활용하기 위해 모듈러 주택을 비축하는 방안도 정부에서 검토되고 있다.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