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 ‘독개다리·93뮤지엄·소울원’

판문점 가던 그때 그 철교 복원
저 너머엔 북한 모습 아른아른

1950년 6월, 거대한 폭격소리에 땅이 울렸다. 한강과 임진강, 공릉천, 문산천. 오가는 물길이 많아 ‘둑 위의 마을’이라 불리던 경기 파주는 6·25전쟁에서 제방 역할을 맡았다. 그로부터 68년이 흐른 오늘, 독개다리의 아픔을 딛고 일어난 파주는 뮤지엄과 정원카페 등 행복을 담는 공간으로 사람들의 상처를 어루만지며 내일의 기적을 꿈꾼다.

1950년 12월31일. 북에서 남으로 향하던 경의선 증기기관차는 1020여발의 총탄을 맞고 장단역에서 멈췄다. 이후 비무장지대(DMZ)에 방치됐던 이 열차는 2006년에야 임진각으로 옮겨진다. 파주시 문산읍 운천리와 장단면 노상리를 잇는 옛 경의선 상행선 철도노선이던 독개다리도 폭격으로 파괴됐다. 1998년 통일대교가 개통되기 전까지 민통선 이북과 판문점을 잇는 유일한 통로이던 독개다리는 비극과 아픔의 상징물로 우리 민족의 마음속에 자리했다.

2016년 12월, 독개다리가 단장을 했다. 남아 있던 5개 교각을 활용해 길이 105m, 폭 5m 규모의 스카이워크 ‘내일의 기적소리’로 전쟁 이전의 철교를 재현한 것. 2층 구조에 과거와 현재, 미래 구간으로 구성됐다. 관람시간 내에는 누구나 제한 없이 민간인 출입통제선 안에 위치한 스카이워크에 머물 수 있다.

바깥으로 나가 철로에 발을 내디디면 나무 데크의 현재 구간이 나온다. 바닥의 특수 유리를 통해 철교 아래를 관찰할 수 있다. 거기서 더 나아가면 철로의 끝인 미래 구간에 닿는다. 미래 구간의 끝인 스카이워크 2층에서 앞을 내다보면 교각에 6·25전쟁 중에 남겨진 총탄 자국을 알리는 붉은 표식과 그 너머로 북한의 모습이 보인다.

그림을 열망하던 청년은 첫 월급 3000원을 쪼개 그림 한 점을 구입했다. 당시 가장 저렴했던 장르는 인물화. 그렇게 15년이 지나자 그림이 제법 쌓였고, 국내에서 좀처럼 보기 힘든 귀한 작품도 여럿이었다. 1000여 점의 그림을 모아 파주에 터를 잡은 것이 93뮤지엄이다. 과거뿐만 아니라 현대의 정치가 등 유명인들의 인물화를 관람할 수 있고, 전두환 전 대통령의 환수 미술품도 일부 전시돼 있다.

1층과 2층에는 트릭아트와 신기한 현대미술이 전시돼 있다. 눈으로 보고 직접 그림의 일부도 될 수 있다. 아슬아슬한 다리 위에서 까마득한 물속을 내려다보는 포즈를 취하며 서로 사진을 찍다 보면 시간 가는 줄 모른다.

시대와 공간을 넘나들었던 여행을 마무리할 시간. 고즈넉한 정원카페에서 안정시키자. 차를 타고 10분 정도면 소울원에 도착한다. 식물이 주는 정화의 에너지가 전해지길 바라는 마음으로 20년간 모은 분재와 정원석, 정원수가 조성돼 있다. 이곳의 정원수와 분재를 모두 합하면 2만 5000살에 이른다. 긴 시간 같은 자리에서 자신의 주위를 오가는 수많은 사람과 그들의 역사를 봐온 나무들. 온 마음을 휘젓고 다니는 고민을 잘게 쪼개 공작단풍 잎사귀 끝마다 걸어두고, 공허한 마음은 참나무 잎으로 채운다.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