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선과 경의선 철도가 경제협력의 시발점이 될 전망이다.

문재인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27일 남북정상회담을 갖고 공동선언문을 발표했다. 선언문에 민족경제의 균형적 발전과 공동번영을 위해 1차적으로 동해선 및 경의선 철도와 도로를 연결하기로 합의했다.

남북 경협이 시작되면 철도분야부터 이어질 가능성은 이미 예상돼 왔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해 7월 독일 베를린에서 쾨르버재단 초청 연설에서 한반도 신경제지도를 언급하며 첫 번째로 철도를 예로 들기도 했다.

이날 정상회담을 시작하면서도 양 정상은 우리나라의 고속철도와 북한의 철도에 대해 언급해 화제를 낳았다.

김 위원장은 “평창올림픽에 갔다온 분들이 말하는데, 평창 고속열차가 다 좋다고 하더라. 남측의 이런 환경에 있다가 북에 오면 참으로 민망스러울 수 있겠다”라고 말했다. 이어 문 대통령은 “앞으로 북측과 철도가 연결되면 남북이 모두 고속철도를 이용할 수 있다”고 답했다.

건설업계에선 두 정상의 이같은 대화에 “크게 환영할 일”이라며 반색하고 있다. 특히 대한건설협회에선 “건설산업이 다른 산업보다 남북경협, 나아가 통일에 대한 역할과 책임이 큰 산업”이라며 기대감을 감추지 않았다.

◇북한 철도개발, 우리건설업계에 미치는 영향은?

2012년 코레일철도연구원이 발표한 ‘남북열차 운행재개를 위한 남북철도 개선방안 연구’ 보고서는 북한철도 발전비용이 수 조원 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한반도 통합철도망을 남한의 건설단가로 계산해 경의선(개성~평양~신의주) 7조8757억원, 경원선(평강~원산~두만강) 14조9294억원, 동해선(고성~원산~두만강) 14조7765억원으로 추정했다.

남한이 자재·장비를 지원하고 북한이 건설할 경우엔 각각 9064억원, 1조7182억원, 1조7006억원이었다. 이 추정치는 단선을 기준으로 한 것으로 복선이나 복선전철화를 추진할 경우 비용은 더 커질 것으로 산정했다.

신규 철도건설이 아닌 기존 노선을 개보수할 경우엔 경원선(781㎞)과 경의선(412.4㎞)에 각각 약 2000억원과 1000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측했다. 2011년 기준 자재 구매단가를 적용했고 남측이 자재·장비만 제공하고 북측이 시공하는 조건으로 산정한 금액이다.

◇남북경제협력, 상호 이익되는 부분부터

한편, 한국건설산업연구원 박용석 연구위원은 27일 ‘남북 사회문화 및 경제협력사업중 우선추진 과제’ 보고서에서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사회·문화 및 경제협력사업은 남북한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사업 중심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우선, 접경지역의 조류인플루엔자, 구제역, 말라리아 등 질병예방과 산림 병충해 방지, 농촌현대화 사업을 추진하고 개성공단 재개 및 2·3단계로 나아가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후 동해권 에너지·자원벨트와 서해안 산업·물류·교통벨트, DMZ 환경·관광벨트 등을 개발할 것을 조언했다.

박 연구위원은 “중장기적으로 남북경제협력 활성화는 한반도 전체의 발전 가능성을 높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