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기후변화체제 속에서 건설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세부 공종별로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대한건설정책연구원(원장 서명교)은 신기후변화협약에 따른 건설산업의 대응방안을 조사‧분석한 ‘신기후변화협약에 따른 건설산업의 대응방안 조사연구’ 보고서(정대운 연구원, 유일한 연구위원)를 17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 11월4일에 신기후변화체제인 ‘파리 협정’이 발효되면서 우리나라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전망치의 37%를 자발적으로 감축해야 한다.

보고서는 건설산업이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해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야 하며, 이를 위한 세부 전략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지적하면서 발전방안을 제시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건설산업의 세부공종(전문업종)별 기후변화 대응 전략이 마련돼야 한다. 특히 건축물의 효율적 에너지관리와 연계되는 △실내건축 △금속구조물·창호 △지붕판금·건축물조립 등의 공종에 대한 기후변화 대응 건설사업 전략을 구축해야 한다.

또한 시공과정에서 에너지소비량이 많은 △토공 △도장 △철근·콘크리트 △포장 등의 공종에서 기후변화 대응 자재 및 장비 개발이 이뤄져야 한다.

소규모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설의 확대도 필요하다. 기존의 대규모 발전시설보다는 소규모 발전시설을 다양한 곳에 설치해야 하고, 이를 위해 전력 생산의 효율성과 저장·송전 기술의 향상이 수반돼야 한다.

보고서는 이밖에도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설을 저영향개발(LID: Low Impact Dvelopment)로 건설 △지역별 맞춤형 신·재생에너지 개발 △기존 시설을 적극 활용하는 에너지 저감 및 생산 전략의 확대 △건설산업에서 발생되는 온실가스 배출량의 통계 데이터 구축 및 시설물별 에너지정보관리시스템 보급 확산 △기후변화 대응 건설산업에 대한 업계 실무자 교육·홍보 강화 등 7가지를 발전 방안으로 내놨다.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