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설, 침체 극복할 도전과 혁신의 길 - 시공책임형CM 활성화 위한 선결 과제는…

시공책임형CM이 도입 확산될 경우 전문건설업계는 프로젝트 착공 전에 시공성과 공사비 등을 세심히 검토할 기회를 얻게 된다. 데이터보다 경험과 ‘감’에 의존하던 하도급입찰 관행이 개선될 전망이다.

하지만 사업관리용역(프리콘)을 경험해 본 전문건설사들은 이를 인정하면서도 새로운 제도에 적극적인 지지는 유보했다. 미완의 새 제도가 못 미덥기도 하지만 전문건설업계의 현실에선 선뜻 접근하기 어려운 면이 있다는 것이다.

우선, 전문건설사들은 착공 전에 수행하는 사업관리용역 단계에 인력을 투입하는 것이 부담스럽다. 용역 과정에서 전문건설사의 시공노하우만 빼먹는 게 아니냐는 시선도 있다. 직원이 현장에 투입되면 수억원의 이익을 가져올 수 있는데 용역비만 받고 업체별 노하우를 공개하면서 수개월을 묶여 있어야 하니 경영자에겐 탐탁지 않은 것이다.

또한, 용역이 공사비 추가삭감 수단으로 전락하지 않을까 하는 우려도 나온다. 전문건설사가 프리콘용역 입찰시 하도급 추정공사비를 산정해 최저가 경쟁을 하고, 용역과정에서 공사비를 더 줄이라는 원청의 요구를 받는다면 ‘최저가에 추가 삭감’용으로 제도가 악용될 소지가 있다는 지적이다.

수년간 프리콘서비스를 운용해 온 GS건설은 협력업체들의 애로점을 보완해나가는 과정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전문업계 관계자들은 “GS가 그간 공사에 따라 프리콘(시공전환 보장)과 프리스터디(시공전환 없이 사업관리용역만 수행)를 병행했지만 최근엔 프리스터디를 줄이는 분위기고, 용역 과정에서의 공사비 삭감 문제는 최근 들어 경험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GS건설 한태희 프리콘서비스팀장 역시 “프리콘의 가장 큰 장점은 양질의 프로젝트를 수의방식으로 수주할 수 있다는 점”이라며 되도록 프리콘을 진행한 협력업체에게 시공권까지 주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또 “당초 예상했던 이익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점도 전문건설사에 유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태희 팀장은 아울러 대형건설사들과 프리콘 업무를 함께 할 전문건설사라면 △공사계획 수립 △공법에 대한 검토 △생산성 관리 △대안제시 등 능력을 갖춰야 한다고 조언했다. 특히 “1일 단위 계획을 수립해 발주자, 종합건설사는 물론이고 선후 공종 업체들과도 협의를 해야 하기 때문에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기본”이라고 강조했다.

시공책임형CM이 정부의 기대대로 운영되기 위해선 전문건설사의 역량 강화는 물론이고 전향적인 태도가 필요해 보인다. 향후 세부법령을 만드는 과정에 발주자, 설계사, 종합건설사는 물론이고 전문건설업계의 의견도 충분히 반영돼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