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설, 침체 극복할 도전과 혁신의 길 - 새롭게 떠오르는 건축물 재생시장

올해 포항 지진, 용산 4층 상가건물 붕괴사고 등이 연달아 발생하면서 주택을 비롯한 노후 인프라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노후건축물에 대한 실제 지표도 경고의 메시지를 보내고 있어 향후 정부 정책에 변화가 생길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달 6일 주택산업연구원이 공개한 ‘서울시 주택노후도 현황 분석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1월 기준 지은 지 30년 이상 된 노후주택은 전체 단독주택 31만8440동 중 15만991동으로 절반(47.4%)에 육박했다. 아파트 등 공동주택도 12.3%가 노후건물인 것으로 파악됐다.

노후 건축물 범위를 전국으로 확대해 보면 상황은 더 심각하다. 2016년 기준전국 총 705만동의 건축물 중 30년이 넘은 건축물은 254만동으로 36.0%에 달한다. 10년 이상 된 건축물도 75%를 넘어섰다.

이에 따라 서울시를 비롯한 전국 지자체들은 노후 건축물에 대한 안전 점검을 실시하는 등 용산 사고와 같은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분주히 대비하는 모습이다.

하지만 오래된 건축물에 대한 정비와 안전관리 강화가 근본적인 대책이 될 수는 없는 만큼 근본적인 대안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에 힘이 실리고 있다.

그리고 이같은 목소리는 정부의 도시재생 정책으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업계에서는 특히 노후 건축물 리모델링, 건축물 재생시장 등에 대한 정책적 변화가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문재인 정부가 출범하고 재건축·재개발 억제 정책을 펴온 만큼 노후 인프라 개선을 위해 리모델링 사업 등에 대한 추가적인 정부 지원안이 마련될 수도 있다는 기대감이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도시정책은 지자체와 협의하는 게 필수적인데, 최근 지방선거로 인해 논의가 늦어지고 있다”며 “선거 이후엔 1기 신도시 리모델링을 적극 추진하는 등 노후 인프라 개선에 속도를 낼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