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창간 32주년 특집 - BIM 국내 현황

국내에서 BIM 도입이 확산될 경우 건설업체들은 프로젝트 착공 전 사전에 리스크를 검토해 볼 수 있을 뿐 아니라 시공성과 공사비 등까지 세밀하게 검토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기존에 전통적인 입찰 방법이었던 ‘업체들의 경험을 토대로 한 불완전한 입찰 방식’까지도 대폭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BIM 시범사업 등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업체들은 이같은 부분을 인정하면서도 국내는 아직 갈 길이 멀었다고 입을 모은다. 정부차원의 혁신에 가까운 발주제도 개선 없이는 불가능하다는 것을 잘 알기 때문이다.

생산성 향상을 위한 스마트 기술 도입에 필요한 정책과 규제를 마련하고, 정부에서 공사를 발주해 민간 건설업체의 유입을 돕고 있는 건설 선진국들과 달리 우리 정부는 아직 인위적인 제도 개선에서 그 방법을 찾고 있어 국내에 스마트 기술이 확산되기까지는 더 긴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게 업체들의 분석이다.  이는 업체들에게 국내 발주제도가 가장 큰 장애물로 인식되고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이와 함께 국내 업체들의 부족한 BIM에 대한 인식도 확산을 막는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내외에서 수많은 BIM 적용 현장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정숭용 BIM DOCTER 대표는 “BIM을 도입한다고 해서 바로 이윤으로 연결되는 것이 아닌데도 BIM 도입을 검토하는 대부분의 건설업체들이 가장 먼저 물어오는 것이 비용절감에 대한 부분”이라며 “BIM은 눈앞에 이익보다는 장기적인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필요하지만 국내 업체들의 인식은 그렇지 못한 것 같다”고 말했다.

시장형성이 안 된 점도 문제로 꼽힌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서 발주하는 BIM 시범사업 현장 등을 보면 실제 입찰에 참여하는 업체들이 제한적이다. 종합업체는 물론 전문건설업체들에게까지 입찰시 BIM 혹은 그에 준하는 3D설계 능력을 요구하면서 입찰에 참여하는 업체가 대폭 줄어들기 때문이다.

전문건설업체 소속이지만 BIM 현장 참여 경험이 많은 큐베컨 노만종 이사는 “국내는 BIM을 적용할 수 있는 시장이 워낙 작아 이를 위해 BIM 기술에 투자하는 업체들이 많지 않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외에 BIM 활용에 따른 이익배분가 종합·전문간 불평등하다는 점도 BIM 확산을 저해하는 요소로 지적됐다. 한 전문건설업체 관계자는 “시공책임형CM 현장에 참여해보니 BIM 설계단계에서 전문건설업체의 아이디어로 수억원의 비용이 절감돼도 정작 모든 이익은 종합에게 돌아가고 전문업체에게 오는 혜택은 없었다”며 “이 경우 전문업체는 의욕적으로 BIM 활용에 나설 수 없다”고 지적했다.

싱가포르와 미국의 경우 이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성과공유제도의 도입을 준비 중에 있다. 누구든 현장에서 생산성 향상에 기여한 만큼의 대가를 지급하는 방식으로, 하도급업체는 물론 건설기능 인력들까지도 BIM에 대한 이해도를 가질 수 있게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