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창간 32주년 특집 - 건설의 미래, 생산성 혁신에서 찾자

4차 산업혁명의 물결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은 생산성 혁명이다. 스마트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한 연결과 융합, 플랫폼의 활용 등을 통해 전 산업이 생산성 향상에 온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그리고 이는 4차 산업혁명이라는 거대한 물결을 만들어 내고 있다.

미·일·싱가포르 등이 스마트건설 주도

하지만 지난 수십 년간 건설 산업 분야는 제조업을 비롯한 타 산업들과 비교해 새로운 변화에 적응이 더뎠다. 지난 20년간 제조업은 약 100% 정도(2배)의 생산성 향상을 이뤄왔지만 건설업은 약 25% 정도 수준에 그쳤다. 이는 전 산업 평균인 70%에도 한참 미달되는 수준이다.

최근 건설업계에서는 이같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움직임이 활발하다. 4차 산업혁명이라는 변화에 발맞춰 건설 공사에서 새로운 설계·시공을 주도하는 3차원 설계 기술인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과 공장제작 및 조립 방식(DfMA, Design for Manufacturing and Assembly), 건설기계 무인화·자동화 등과 같은 새로운 성장 동력을 발굴해 생산성 향상에 힘쓰고 있다.

구체적으로 가상 시공을 해볼 수 있는 BIM과 VR(가상현실)·AR(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하는 것을 비롯해 공장에서 건축물을 사전 제작하는 등의 스마트 건설기술이 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다. 또 효율적인 설계·시공·유지관리를 위한 건설기계 자동화 기술 개발 움직임도 확대되고 있다.

세계적인 움직임도 크게 다르지 않다. 건설생산성 혁신을 위해 수많은 나라들이 힘쓰고 있다. 스마트 건설 개념의 새로운 건설 패러다임을 주도적으로 이끌고 있는 나라는 대표적으로 싱가포르와 일본, 미국 등이 있다.

일본은 건설 모든 과정에 ICT활용 추진

싱가포르는 먼저, 정부 차원의 로드맵을 수립해 생산성 향상을 꾀하고 있다. 정부가 BIM·공장화·기계자동화 등 신기술을 활용한 프로젝트 조달과 기술 활용 기반 비용을 투자함으로써 2020년까지 25~30%의 생산성 향상을 이룬다는 계획이다. 이같은 계획에 따라 정부에서 확실한 인센티브제도 등의 유인책을 마련해 단시간 만에 BIM과 공장화 등의 활용 능력을 세계 정상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있다.

계획대로 BIM에 이어 공장화까지 현장에서 자리를 잡으면 생산성 향상은 물론, 40~70%의 인력 감축효과까지 날 것으로 싱가포르 정부는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민간기업이 건설자동화 등 신기술을 적극 도입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정책도 함께 수립 중에 있다.

일본의 국토교통성은 건설 산업계의 노동력 부족에 대응하기 위해 국가차원에서 건설 산업의 자동화·무인화 기술에 중점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2025년까지 건설현장의 생산성 20% 향상을 목표로 건설 프로세스 전주기에 ICT(정보통신기술)를 활용한 건설자동화 기술인 ‘I-Construction’을 추진할 예정에 있다.

미국의 경우 1990년대 초반부터 국가 경쟁력 향상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 건설 산업의 품질과 생산성 향상을 추진해 오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정부가 총 70억 달러 규모를 투입하는 ‘National Construction Goals’ 운동에서 건설 자동화 분야에만 12억 달러(1조3600억원)를 배정해 건설 산업의 생산성을 높이는데 기여하고 있다.

이처럼 세계 주요국들은 정부 주도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첨단 디지털 기술과 장비, 프로세스, 관리시스템 등의 선진화에 힘을 쏟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이같은 세계적인 추세와는 동떨어져 가고 있다. 기술이 아닌 제도적으로 생산구조 혁신을 꾀하는 방법을 택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최근 ‘건설 생산구조 혁신 로드맵’을 공개하고 업역과 업종 체계를 강제로 개편해 건설 산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그러나 이는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생산구조 혁신인 기술의 고도화와는 거리가 멀어 단기적인 효과에 그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한국은 발주방식부터 개혁해야

물론 우리 정부도 4차 산업혁명에 발맞춰 제6차 건설기술진흥기본계획을 수립, BIM 활용과 공장제작을 확대하고, VR·AR을 통한 가상 시공, 설계·시공·유지관리의 건설기계 자동화 기술 개발 등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BIM 등을 활용하는 스마트 건설 분야는 주요 건설 선진국들과 비교해 약 41% 수준으로 낮게 평가되고 있다. 단기적인 대책으로 그칠 가능성이 높은 인위적인 제도적 생산구조 혁신에 앞서 기술과 프로세스 개발 등에 집중해야 하는 이유다.

특히 전문가들은 국내 건설 산업의 발주 방식과 법·제도·규제 등은 아직 글로벌 스탠더드와 거리가 먼 갈라파고스 섬 같은 상태라고 말한다. 주요 건설 선진국들처럼 정부가 스마트한 발주자가 돼 기술과 장비, 프로세스 등의 적극적인 성장을 이끌어야 하지만 그렇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그리고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BIM 등 새로운 기술을 활용한 프로젝트들이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발주 방식과 법·제도 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주요 건설 선진국들처럼 적극적인 투자 방안을 수립해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