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저주거기준에 미달하는 가구 비중이 2017년 5.9%에서 2018년 5.7%로 감소했고, 1인당 주거면적은 31.2㎡에서 31.7㎡로 증가하는 등 주거 수준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6~12월 표본 6만 가구를 대상으로 실시한 주거실태조사 결과를 17일 발표했다.

지난해 자가에 거주하는 비율은 전체의 57.7%로 2017년에 이어 역대 최고 수준을 유지했다. 수도권은 49.9%, 광역시는 60.3%, 도 지역은 68.3%였다. 자가를 보유한 가구는 61.1%였다.

자가가구의 연소득 대비 주택구입가격 배수(PIR)는 전국 5.5배였다. 수도권이 6.9배로 광역시 5.6배, 도 지역 3.6배에 비해 높았다. 임차가구의 월소득에서 차지하는 월임대료 비율(RIR)은 전국 15.5%였다.

평균 거주기간은 7.7년이었다. 자가가구는 10.7년, 임차가구는 3.4년 거주하고 있었다.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는 2014년 이후 5~6% 수준을 보이고 있고, 2018년에는 5.7%, 111만 가구로 전년(5.9%, 114만가구)에 비해 소폭 감소했다. 1인당 주거면적은 31.7㎡로 전년 31.2㎡ 대비 소폭 증가했다.

국민들이 가장 필요하다고 꼽은 주거지원 프로그램은 ‘주택구입자금 대출 지원(31.7%)’, ‘전세자금 대출지원(18.8%)’, 장기공공임대주택 공급(13.6%)‘이었다.

청년 가구는 지하·반지하·옥탑에 거주하는 비중이 감소(3.1→2.4%)하고,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의 비중(10.5→9.4%)도 감소했다. 신혼부부는 내 집 마련 기회가 확대되면서 자가점유율이 큰 폭으로 증가(44.7→48.0%)했다.

정부는 수요자 맞춤형 주거지원 정책의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했다고 분석했다. 앞으로도 주거복지로드맵 등에 따른 주거지원을 지속적으로 이행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