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소재 전문건설업체인 ㄱ사와 ㄴ사는 노조원 채용 강요와 전임비 등 각종 부당요구를 해오는 노조질을 견디다 못해 주력 업종 변경을 결단했다. 지방소재 ㄷ사는 노조의 태업 등 방해로 생산성이 크게 떨어지자 사업을 접을 각오로 현장에서 노조를 제외하고 공사를 수행하고 있다.

인력 사용이 많아 노조의 타깃이 되고 있는 일부 업종을 중심으로 이처럼 인력보다 기계사용이 많은 업종으로 주력 공사를 변경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또 노조의 환경분쟁(파업)을 각오하고 현장에서 노조원을 제외시키는 등 강공으로 노조에 맞서는 전문건설업체들이 늘고 있다.

ㄱ사 관계자는 “지난해 철골공사 몇 개를 하도급 받았다가 노조 횡포로 회사가 넘어갈 지경”이라며 “생존을 위해 토공사 등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고 말했다. ㄴ사 관계자도 “아직 공사 수주는 못했지만 철골 등 철근콘크리트공사는 더 이상 안할 것”이라며 “노조질에 성한 업체가 없다”고 토로했다.

ㄷ사와 수도권 소재 ㄹ사는 생존을 위해 노조와의 전면전을 선포하고 공기가 급한 한두 현장을 제외한 모든 현장을 걸어 잠궜다. 업체들은 “공사 기간이 시급한 현장만 우선 가동하는 식으로 노조원과 노조원이 꼬투리를 잡을 수 있는 불법 외국인 근로자를 현장에서 빼고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며 “업을 접으면 접었지 노조와 타협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하지만 단기간에 업종을 바꿔 공사를 수주하기가 쉽지 않을 뿐 아니라  대규모 보복성 파업 등으로 업체가 폐업할 수도 있는 등 업체가 피해를 볼 여지도 높아 지나치게 실험적인 대응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업계 한 전문가는 “업체들의 업종 이동이 증가할 경우 제 살 깎기 식의 저가 입찰 문제가 심각해질 수 있다”며 “또 노조를 현장에서 제외시키려면 사전에 인력확보 방안과 철저한 공기 계산 등이 선행돼야 도산 등 최악의 경우를 막을 수 있다”고 충고했다.

한편, 지방의 130여개 건설업체들이 개별 대응을 넘어 이르면 이달 노조갑질 문제에 대한 성명을 다시 한 번 내고 노조문제를 규탄하는 집회도 연이어 가질 계획이어서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또 정부도 건설노조 문제가 확산되자 뒤늦게 실태 확인에 나선 것으로 확인됐다. 국토부 관계자는 “사실관계를 확인 중에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