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건설업체 10곳 중 8곳이 ‘스마트건설 도입 계획이 없다’고 답했다는 한 건설 관련 연구원의 최근 조사결과를 보면 좀 당황스럽다. 4차산업혁명이니 스마트기술이니 하는 용어가 나온 지가 언제인데 건설분야만 아직도 구시대적 사고의 틀에서 안주하고 있다는 말인가.

조사에 따르면 ‘향후 5년 내 스마트 건설기술을 도입할 계획이 있다’는 설문에 200여개 건설사 중 40%가, 전문건설업체의 경우는 단 20%만이 동의했다. 그 20%도 드론이나 3D프린팅, 빌딩정보모델링(BIM), 모듈화 등을 도입하겠다는 곳이 12~13%밖에 안됐고, 가상현실(VR)이나 증강현실(AR),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AI) 등은 7~9%에 불과했다. 심각한 기술지체로 이어질 수 있다.

정부가 열심히 뛰고 있긴 하다.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10월 스마트 건설기술의 도입과 활성화를 위한 로드맵을 발표했다. 2025년까지 스마트 건설기술 활용 기반을 구축하고, 2030년까지 건설 자동화를 이룬다는 것이 목표이다. 지난달 17일에는 서울 엘타워에서 4차원 신기술을 이용한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서비스로드맵’ 설명회와 함께 기업들의 의견수렴 기회를 가졌다. 이 서비스로드맵 초안에는 자율주행 대중교통, 디지털트윈(모의시험을 위한 쌍둥이 가상현실), 로봇 등 12개 분야 총 53개의 4차산업 신기술 도입방안이 소개됐다.

선진국들은 이미 스마트건설을 적극 육성 중이다. 미국은 스마트건설 관련 대규모 인프라 투자계획을 수립했고 영국도 지난해 공기 50% 단축, 비용 30% 절감, 건축물탄소배출 50% 저감 등의 내용을 담은 ‘건설산업 혁신프로그램’을 발표했다. 일본도 공공사업 전 과정에서 건설과 ICT의 통합을 시도하고 있다.

스마트 건설은 먼 나라 먼 미래의 일이 아니다. 바로 지금 현재 전문건설업체 자신들의 일이라는 점을 깨달아야 한다. 드론을 이용한 신속·정확한 자동측량서부터 빅데이터를 이용한 자동설계가 가능하다. 시공시뮬레이션 후 최적의 공정계획에 따른 건설장비를 투입하고 건설장비들이 원격관제에 따라 자율작업을 하며, 공장서 사전제작한 부재들을 현장에서 정밀조립한다. 또한 작업자에게 실시간으로 위험요소를 알려주고 통제하며, 시공과정을 디지털화해 시뮬레이션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공사비 절감과 공기단축, 안전성 확보가 가능하다.

건설현장에 3D프린팅과 로봇, 드론이 등장하는 영화나 소설 속 미래는 더 이상 공상이 아니고 미래도 아니다. 현실이고 금세 다가올 현재이다. 스마트건설 기술은 기업의 생존이냐 도태냐의 문제와 연결돼있다. 가까운 미래 먹거리이고 해외시장에서는 특히 더하다. 건설기업이라면 자신만의 ‘스마트 필살기’ 하나쯤은 보유하고 있어야 살아남는다.

정부가 지금까지도 잘 하고 있지만 홍보와 계도가 좀 부족해 보인다. 스마트 건설기술이 무엇이고, 왜 당장 필요한지, 그것이 구체적으로 현실에 어떻게 접목되고 활용될 수 있는지부터 보다 더 적극적으로 알려주고 유도해주면 좋겠다.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