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와 중국 주요 도시의 초미세먼지 성분을 분석한 결과, 석탄 등 화석연료 사용과 자동차 배출가스 등 교통 부분이 초미세먼지 발생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의 한중 대기질 공동연구단은 지난 2017년부터 중국 베이징 등 북동부 지역 4개 도시에 대한 공동연구를 통해 양국의 초미세먼지 특성을 비교 분석해 이같은 결과를 도출했다고 22일 밝혔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베이징과 서울의 초미세먼지 성분 구성은 질산암모늄, 황산암모늄, 유기물질로 비슷하다.

반면 베이징의 황산암모늄 조성비는 11%로 서울보다 약 2배 낮고, 유기물질은 44%로 약 1.5배 높게 나타났다. 

질산암모늄은 두 도시 모두 비슷한 조성비(베이징 22%, 서울 25%)이나, 2017년 기준 초미세먼지 고농도 발생 시에는 10% 이상 증가했으며, 서울은 22%로 증가 폭이 크게 나타났다.

공동연구단은 “베이징의 질소와 황산암모늄 비중이 작아지고 있는 것은 중국 정부의 화석 연료 사용을 줄이는 에너지 구조조정 정책의 효과”라며 “다만 석탄 등 화석 연료 사용량이 많아지는 겨울철에 유기물질 조성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두 도시 모두 고농도 시 질산암모늄 비중이 높아지는 것은 자동차 등 교통 부분의 발생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된다”며 “향후 배출량 현지 조사, 배출항목(인벤토리) 구축 등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더욱 구체적인 결과를 도출해 나갈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국립환경과학원은 공동연구단을 중국 현지에 설치‧운영함으로써 중국 주요 도시의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베이징 등 중국의 주요 지역에서 발생하는 고농도 미세먼지 예‧경보 자료를 실시간으로 분석, 환경부 등 유관기관에 전파해 비상저감조치 등 고농도 미세먼지 대응에 활용하고 있다.

환경부는 “한중 대기질 공동연구는 양국 간 최초의 연구 분야 협력사업이며, 공동연구단 활동은 2018년 ‘한중 환경협력센터’ 개소, 2019년 양국 환경부 장관의 ‘청천 계획’ 서명 등 양국 정부가 과학적 협력에서 정책 협력으로 연착륙할 수 있는 마중물 역할을 제공했다”고 전했다. 

김영우 국립환경과학원 기후대기연구부장은 “한·중 대기질 공동연구를 통해 양국의 미세먼지 저감 정책 수립에 필요한 과학적인 자료를 마련함으로써 한중 환경협력이 한 단계 더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