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B미래전략연구소 주장

정부의 ‘재생에너지3020 이행계획’의 보급목표 실현을 위해 해상풍력의 적극적인 도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KDB미래전략연구소 산업기술리서치센터는 최근 ‘차세대 신재생에너지, 해상풍력의 현주소’라는 제하의 보고서를 내고 이같이 밝혔다.

또 보고서는 “국내의 신재생에너지 보급목표의 주요 에너지원은 태양광과 풍력이나, 풍력은 보급목표 대비 실적이 미흡한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정부는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에 따라 오는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를 48.7GW 공급할 예정이다. 이 중 태양광이 30.8GW, 풍력이 16.5GW(육상풍력 4.5GW, 해상풍력 12GW)를 차지한다.

하지만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보급 실적은 2018년 기준 태양광은 143% 달성했으나, 풍력은 84%로 목표실적에 미달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2018년 기준 국내 태양광 보급은 2027MW, 풍력 보급은 168MW이다.

이와 관련해 보고서를 작성한 구지선 연구원은 “신재생에너지 보급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잠재 발전량이 풍부한 해상풍력의 적극적인 도입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그는 “신재생에너지의 보급목표인 48.7GW 중 약 25%를 차지하는 해상풍력 역할에 무게를 두고 적극적 추진이 필요하다”면서 “풍력의 시장 잠재 발전량은 해상풍력(7만996Gwh/년)이 육상풍력(3만8622Gwh/년)의 약 1.8배 수준”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전 세계적으로도 탈원전·탈석탄 및 친환경 에너지 정책으로 신재생에너지의 설비용량도 증가 추세라고 덧붙였다. 신재생에너지 중 풍력발전의 설비용량은 수력발전 다음으로 높은 수준이며, 풍력발전을 선도하는 유럽의 2018년 신규 풍력발전 설비용량은 10.1GW로 가장 높다는 설명이다. 

다만 구 연구원은 “국내에서 대규모 해상풍력 단지를 조성해 해상풍력 사업 확대를 위해 노력 중이나 해상풍력의 남겨진 과제에 대해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짚었다. 

구 연구원이 꼽은 과제는 경제성 개선과 주민 수용성에 대한 갈등 해결 등이다. 

구 연구원은 “해상풍력의 LCOE(균등화 발전원가) 하락을 위해 풍력 발전단지의 비용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터빈의 성능 향상이 필요하며, 해상풍력의 발전단지에 대한 지원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고 밝혔다.

주민 수용성 갈등에 대해선 “해상풍력발전이 육상풍력 대비 입지선정이 비교적 자유로우나 어민의 생존권 침해, 사업 추진시 소통의 부재 등으로 주민 수용성 문제가 발생한다”며 “향후 해상풍력 단지 조성 시 어민들과 상생하는 풍력단지 개발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