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의 자가점유율은 58.0%로 2006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고, 연소득 대비 주택가격 비율(PIR)은 5.4배로 소폭 감소했다.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 비중은 5.3%로 줄었고, 1인당 주거면적은 32.9㎡로 소폭 증가했다.

국토교통부는 이같은 내용의 ‘2019년도 주거실태조사 결과’를 1일 발표했다. 지난해 6~12월 전국의 6만 가구를 표본으로 조사한 결과다.

자가에 거주하는 비율(자가점유율)은 전체 가구의 58.0%로 2014년(56.5%) 이후 꾸준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가보유율도 2014년 58.0%에서 지난해 61.2%로 증가세를 이어갔다. 두 수치 모두 2006년 이후 최고 수준이다.

전국의 PIR은 2018년 5.5배에서 지난해 5.4배로 줄었다. 수도권은 6.9에서 6.8로, 광역시는 5.6에서 5.5로 소폭 줄었고 도 지역은 3.6으로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임차가구의 RIR(월소득 대비 월임대료 비중)이 15.5%에서 16.1%로 일부 상승했다. 수도권이 20.0%, 광역시 등이 16.3%, 도 지역은 12.7%를 기록했다.

생애 최초로 주택을 마련하는데 소요되는 기간은 7.1년에서 6.9년으로, 무주택가구의 무주택 기간은 11.9년에서 11.2년으로 줄었다.

전국 평균 거주기간은 7.7년으로 2018년과 동일하며, 전세에서 자가로 이동하는 등 주거 상향이동하는 가구 비중(28.6%)이 하향이동하는 가구(8.2%)보다 높게 나타났다.

정부는 이번 주거실태조사 결과를 실수요자 중심의 시장관리와 공공임대주택 확충 등 주거복지 정책의 효과라고 평가했다. 향후 주택시장 안정 기조가 더욱 강화될 수 있도록 실수요자 보호·투기수요 근절과 양질의 주택공급 확대정책을 지속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