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으로 한해 절반이 후딱 지나가 버렸다. 속수무책, 속절없다는 게 이런 것이구나 실감하는 요즘이다. 그래서인지 올해 건설의 날(6월18일)도 일찍 찾아온 것 같다. 하 수상한 시절이다.

세계은행(WB)은 지난 8일 코로나19 여파로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이 -5.2%까지 떨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최악의 경기침체다. 건설경기를 얘기하기 전에 세계 경제 전체에 경고등이 켜진 상황이다.

정부는 위기극복 카드로 이른바 ‘한국판 뉴딜’을 제시했다. 2022년까지 31조3000억원을 투입해 55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2025년까지 45조원을 추가 투입해 국가산업 재편과 디지털 강국의 입지를 공고히 하겠다는 계획이다. 큰 축은 디지털 뉴딜과 그린뉴딜이다. 사회간접자본(SOC) 디지털화와 도시·공간·생활 인프라의 녹색전환 등이 주요 구상이다.

아직은 개념이 확실히 와닿지 않는 측면이 있다. ‘뉴딜’과 ‘그린’이라는 목표를 동시에 이루기가 보통 힘든 일이 아닐 것이다. 어떤 경우든 지금과 같은 경제위기 상황에는 건설이 가장 확실한 백신이자 구원투수임을 잊어서는 안 된다. 한국판 뉴딜 추진 과정과 추경, 내년도 예산에서 전통적 SOC 사업의 중요성이 간과돼서는 안 된다.

4차산업과 디지털 기술혁명 시대이니만큼 건설산업도 이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가야 한다. 건설인 모두는 안전사고 없는 현장, 튼튼하고 믿음 주는 건축물을 만들겠다는 각오를 다져야 한다. 여기에 건설산업 생산체계의 대대적인 변화가 임박해 있다. 근 반세기 만에 이루어지는 혁신이다. 업역, 업종, 개별 업체별로 입장이 다 다를 수밖에 없다.

관건은 시공관리와 직접시공 역량, 신기술 등 경쟁력을 갖추느냐 여부에 달려있다. 목표는 당연히 최대 다수 이익에 손실 최소화이다. 업종개편이나 상호실적인정기준, 주력분야공시제, 발주가이드라인 제정 등 후속 조치들을 잘 마련해야 한다. 융합을 통한 상생발전을 위해 건설인들이 하나로 뭉쳐야 한다.

노조도 위기극복에 동참해야 한다. 이런 때 노조가 무리한 임금 인상과 파업 등으로 건설현장을 마비시켜서는 곤란하다. 양대 거대 노조 단체가 소속 노조원 고용을 강압하며 싸움까지 벌이고 있다. 콘크리트 믹서트럭(레미콘)과 벌크시멘트트레일러(BCT) 운전기사 파업은 건설공급망 자체를 무너뜨려 회사와 근로자 모두를 파국으로 몰고 갈 우려를 낳고 있다. 지금은 전시에 비유될 정도로 비상한 경제위기 국면이다. 노조끼리 혹은 정부와 국민을 상대로 치킨게임을 할 때가 아니다. 노동계의 양식과 각성이 요구된다.

우리는 지금 어두운 터널을 지나고 있다. 그 속에서 세계 경제는 물론이고 인류의 삶 자체가 미증유의 시련을 겪고 있다. 그래도 한 줄기 빛은 보인다. 터널을 뚫어 광명으로 나가는 일은 오롯이 건설의 몫이다. 터널 밖 미래 도시를 구축하는 일 또한 건설이다. 바이러스 침공 사태는 오히려 건설의 역할을 새삼 일깨워준 측면도 있다. 다시 건설의 날을 맞은 건설인들의 어깨가 더욱 무거워졌다.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