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5대 해양생태축 구축방안’…산란지·서식지 등 통합관리

정부가 해양생태계 보호를 위해 동해와 서해, 남해 해역별 특성에 따른 5대 해양생태축 구축에 나섰다.

해양수산부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해양생태축 구축방안’<개념도>을 3일 발표했다. 해양생태축은 생태적 구조와 기능이 연계된 해양생물의 주요 서식지와 산란지, 이동 경로, 갯벌 등 해양생태계를 훼손하지 않고 연결하는 구조를 말한다.

앞서 해수부는 지난해 7월 ‘해양생태축 설정·관리 로드맵(2019∼2023)’을 발표·추진하고 있으며 그 세부 지침으로서 이번 구축방안을 마련했다.

해수부 관계자는 “그동안 해양생태계 관련 정책은 개별 서식지나 생물 종(種) 보호를 중심으로 추진됐으나, 해양생태계의 전반적인 구조와 기능, 연결성 등을 종합적으로 파악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며 “이번 방안은 해양생태계의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관리·보전을 목표로 한다”고 설명했다.

해수부는 해양생태축의 기본 설정 범위를 ‘영해’로 정하고, 5대 핵심 해양생태축을 설정해 통합관리를 추진한다.

해역별 해양생태축을 살펴보면, 서해에는 갯벌 생태계를 연결하는 ‘서해안 연안습지 보전축’과 해양보호생물의 회유경로인 ‘물범-상괭이 보전축’이 설정된다.

남해에는 다양한 해양생물의 산란과 서식처를 제공하는 ‘도서해양생태 보전축’이, 동해에는 한류성 해양생물들의 유입통로를 보전하기 위한 ‘동해안 해양생태 보전축’이 설정된다.

또 남해와 동해에는 지구온난화에 따라 우리나라 해역의 아열대화 진행을 관찰·진단하고 대응하기 위한 ‘기후변화 관찰축’이 설정된다.

해수부는 5대 핵심 해양생태축의 체계적 관리를 위해 올해 말까지 5개 해양생태축의 구체적인 범위, 관리 목표 등을 설정하고, 내년까지 축별 관리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또 해양생태계 종합조사체계를 개편하고, 2022년도부터 해양생태축의 생물다양성 및 건강성, 구조와 기능의 연결성 등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기로 했다.

아울러 훼손·단절된 해양생태계의 복원계획을 마련하고, 연말까지 해양생태계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을 개정해 해양생태축 설정·관리계획 수립 근거 등을 규정할 계획이라고 해수부는 설명했다.

송명달 해수부 해양환경정책관은 “이번 해양생태축 구축은 해양생물의 다양성을 유지하고, 주요 해양생물 서식처 보전·관리를 위한 조사와 연구·정책을 선도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