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용부담에 강관비계 여전

정부의 추락사고 방지대책의 일환으로 추진된 건설현장 시스템 비계 활용 유도 정책에 따라 공공공사의 80% 이상이 시스템 비계를 활용하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반면 사고가 많은 민간 소형건축 현장에선 아직 강관비계 활용이 여전하다는 평가여서 대책이 요구된다.

최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57개 기관의 작업발판이 필요한 건설현장을 조사한 결과, 4967곳 중 4077곳이 일체형 작업발판을 적용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번 조사는 지난 5월 한 달간 계약한 8021개 건설공사를 대상으로 이뤄졌다. 이 중 고소작업 등으로 작업발판이 필요한 현장은 4967개였고 시스템 비계를 적용한 현장은 4077개, 82%로 집계됐다.

국토부는 미적용 현장 890개 중 강관으로 설계돼 시스템 비계로 변경을 계획 중인 현장이 55개이고, 나머지 835개는 시공상 문제와 예산 등으로 시스템 비계를 적용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한 전문건설사 종사자는 “시스템 비계의 활용 확대를 체감하고 있다”며 “고층건물일수록 강관비계 대비 가격 차이가 적고, 바람에 덜 흔들리는 등 안전 확보가 느껴지며, 수평 맞추기 등 장점이 있어 활용이 더 늘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민간 소형건축 현장에선 여전히 강관비계 적용 현장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전문업계에선 △별도의 도면이 없이 간단한 설치 △자재 보관공간이 덜 필요 △자재비용 차이 등 이유로 강관비계가 단시간에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한 자재임대업체 대표는 “시스템 비계 수요가 늘면서 임대단가가 약 10~20% 증가했고, 우리 회사의 시스템 비계 매출은 전년대비 70% 정도 늘었다”고 말했다. 이어 “반대로 강관비계 임대단가는 갈수록 싸져 소형 건설현장에선 시스템으로 바꾸기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