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단 재난의 파도에 건설산업도 곳곳에 비상등이 켜지고 있다. 건설산업은 올 전반기 경기침체와 코로나19 사태에도 불구하고 산업·경제를 떠받치며 나름 꿋꿋하게 버텨온 측면이 있다. 그러나 기록적인 장마와 폭우로 깊은 내상을 입었다. 그에 대한 복구도 채 끝나지 않은 상태에서 곧바로 폭염과 코로나 재확산에 급기야 제8호 태풍 ‘바비’까지 덮치는 바람에 중심을 잃고 쓰러질 위기에 처했다. 앞으로 공사기간 연장과 추가비용 지급 등에 대한 후폭풍에 시달릴 가능성이 농후한 상황이다. 조짐들은 여러 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우선 도시정비사업을 위한 재개발·재건축 조합총회 등이 줄줄이 연기되고 있다. 사태가 장기화할 경우 도시정비사업과 주택공급에 심각한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크다. 9월 말부터 줄줄이 예정돼있던 공공공사 기술형입찰 설계심의도 발주기관들이 일정을 단축하거나 연기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수천억원 규모의 대형공사 수주업체를 결정하는 설계심의는 질의, 답변, 토론 등이 필수이기 때문에 비대면 심의가 매우 힘든 상황이다. 

여파는 해외건설 지원에도 미쳐 15조원+α 규모의 해외건설 금융지원이 물거품이 될 위기에 놓였다. 정부가 지난 6월 대외경제장관회의에서 대규모 금융지원을 바탕으로 한 ‘해외수주활성화방안’을 내놨지만 최근 코로나19의 중동 등 세계적인 확산세가 계속되면서 수주 영업과 정책펀드 조성, 대외협력(경협) 사업에 제동이 걸린 것이다. 

정부는 지난 2월 코로나19 가이드라인을 마련하는 등 지금까지 4차례 지침을 마련한 바 있다. 하지만 야외작업장 수칙은 빠져있다. 밀집도가 높은 야외작업 건설현장은 코로나와 폭염이라는 이중고를 이겨내야 한다. 쉼터 같은 휴식공간이 있지만 마스크 착용과 거리두기를 강제하기가 쉽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건설현장에서 확진자가 계속 나오고 있는 만큼 지침을 만들어 적극 계도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공기지연과 지체상금 등에 대한 분쟁을 줄이기 위한 조치도 정부가 나서서 중재하거나 예방적으로 조정해주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재개발·재건축 조합 총회 등도 비대면 혹은 최소 인원으로 가능한 것은 그대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코로나 사태와 각종 재난으로부터 국민을 살려낼 마지막 보루가 의료계와 재난구조대이듯 경제위기 탈출을 견인할 선발대는 건설산업이다. 재난이 동시다발로 휩쓸고 지나간 지금부터는 복구, 보강, 정비, 예방이 필요한 때이다. 그야말로 폭격 맞은 폐허에 새집을 짓는 마음으로, 혹한이 지나간 황무지에 새 생명을 싹 틔우는 심정으로 새 출발해야 할 시점이다. 피해를 반면교사로 삼아 파고 쌓고 다져야 한다. 역시 건설이 선두에 나서야만 할 상황이다. 그런 건설산업 자체가 혼란에 빠지거나 동력을 잃으면 곤란하다. 순탄한 공사만 있는 게 아니다. 장애들이 산적한 난공사를 거뜬히 수행해내는 것이 K-건설의 힘이다. 그 정신으로 한국 경제의 동력을 살리고 이 난관을 헤쳐나가자.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