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산연, 14일 건설동향브리핑서 주장

스마트 도시가 근본적으로 차별성이 없는 도시 중심의 개념보다 도시 공간에서 살아가는 시민들을 중심으로 스마트 서비스를 공급하는 환경과 공간으로 개념을 전환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14일 건설동향브리핑에 발표한 ‘스마트 도시의 미래, 개념 전환부터’라는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연구원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여러 국가들이 스마트 도시를 건설하기 위해서 많은 투자를 하고 있고, 지자체마다 각자의 스마트 도시 계획들을 홍보하고 있다”며 “공통적으로 도시에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해 주민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시 개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의 세종 스마트 도시나 부산 델타시티는 도시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하고자 하는 목적성이 강조된 ‘관제 도시’의 성격이 강한 곳이며, 미국의 오하이오주 콜럼버스시는 커넥티드 교통 콘셉트의 또 다른 특성의 ‘관제 도시’이다.

또 중동의 신도시 마스다르도 스마트 도시를 표방했으나 친환경성을 강조하는 ‘에코 도시’의 성격으로 별다른 사업모델 없이 추진되면서 재정여건 악화로 개발이 지체돼 유령도시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김우영 연구위원은 “스마트 도시의 개념을 물리적으로 구획되는 도시보다 사람이 살아가는 사회나 생활 공간 또는 환경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재는 도시라는 개념으로 보기 때문에 그 관리 주체인 지자체를 스마트 도시 개발 주역으로 생각하지만, 도시의 구획을 넘어서는 환경으로 이해하면 시민들 각각에 대한 스마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들이 스마트 도시의 주역이 된다는 것이다.

김 연구위원은 “실패한 개념인 u-City와 근본적으로 차별성이 없는 도시 중심의 스마트 도시 개념보다 도시 공간에서 살아가는 시민들을 중심으로 스마트 서비스를 공급하는 환경과 공간으로의 개념 전환을 통해 지속가능한 스마트 도시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