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와 공동연구, 주석 촉매 일산화탄소 생성반응 향상원인 규명
일산화탄소 값싸고 효율적인 생산 기대…국제학술지 속 표지 논문

국내 연구진이 지구 온난화를 일으키는 이산화탄소를 일산화탄소로 바꾸는 촉매를 개발했다. 주석 촉매가 일산화탄소 생산에 불리하다는 50년 넘는 중론을 뒤집은 것이다.

연료, 플라스틱, 세제 및 접착제 제조 등에 폭넓게 쓰이는 일산화탄소를 값싸고 효율적으로 생산할 방법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권영국 교수팀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 강석태·김형준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저렴한 주석과 탄소 지지체 기반의 ‘일체형’ 촉매(전극)<사진>를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이 촉매는 일산화탄소만 골라서 만들 수 있는 반응선택성이 매우 높아 일산화탄소 생산 효율이 기존 주석 촉매의 100배 이상이다. 또 전기장을 활용해 반응 선택성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혀 학술적으로도 높은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주석(Sn)은 일산화탄소를 생산하는 금, 은 기반 촉매보다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주석을 이산화탄소 변환 반응에 쓰면 일산화탄소보다 포름산이 더 많이 생긴다. 일산화탄소를 만드는 반응 선택성이 높지 않은 것이다.

공동 연구진은 탄소나노튜브를 함께 써 주석으로 일산화탄소만 골라 만들 수 있는 촉매를 개발했다. 나노미터(㎚, 10-9)  크기의 주석 입자가 탄소나노튜브 표면에 붙으면 전기장의 변화로 일산화탄소가 생기는 반응이 촉진된다. 주석 입자 주변의 전기장 변화로 반응물인 이산화탄소가 주석 입자 표면에 더 잘 달라붙기 때문이다.

반면 포름산을 만드는 반응은 탄소나노튜브가 유발하는 전기장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포름산 생성 반응과 일산화탄소 생성 반응은 경쟁관계에 있으므로, 개발된 촉매를 쓰면 일산화탄소는 많이 만들고 포름산 생성은 억제할 수 있다.

권영국 교수는 “주석 촉매는 포름산 생성을 촉진한다는 것이 50년 이상된 중론이었는데, 전극 전기장을 조절해 이러한 상식을 뒤집었다”며 “이산화탄소 변환 반응 촉매 디자인에 전기장을 어떻게 활용 할 수 있는지를 최초로 증명한 연구라 뜻 깊다”고 설명했다.

한편 연구팀은 이론계산을 통해 주석 기반 촉매에서 개미산이 아닌 일산화탄소가 생성되는 원리를 규명했다. 계산에 따르면 탄소나노튜브가 주석 표면의 전자밀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재료공학·전기화학 분야의 국제 학술지 ‘ACS 에너지 레터스’ 속표지논문(인사이드 커버)로 선정돼 지난 11일 출판됐다.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