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주요국 경제의 물가 상승요인이 소비 증가 등 수요 측면 압력보다 통화량 증대와 원자재 가격 상승 같은 공급 측면 압력이 더 크기 때문에 이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코로나발 글로벌 인플레이션 시대 도래하나’ 보고서를 통해 지난달 28일 이같이 밝혔다.

연구원은 최근 미국의 기대 인플레이션율이 2.24%로 6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주요국에서 인플레이션 가능성이 제기되는 원인을 점검했다.

이에 연구원은 2016년 이후 긴축적 통화정책으로 전환했던 주요국은 코로나19 경제 위기 후 정책금리를 인하하고 채권 매입을 확대하는 등 확장적 통화정책 기조로 전환한 것이 인플레이션 우려를 높이는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국제유가와 원자재 가격의 상승세와 이상기후·공급차질 등으로 인한 농산물 가격 상승하는 애그플레이션(농산물 가격 상승에 따른 인플레이션) 우려도 있다고 연구원은 진단했다.

아울러 연구원은 △주요국 국내총생산(GDP) 갭(실제 GDP와 잠재 GDP간 차이) 축소 △경기선행지수 개선 등 수요 회복 기대감 상승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하려는 기업 비용 부담과 관련 투자 확대 등도 인플레이션 가능 요인이라고 진단했다.

연구원은 “단기적으로는 수요 견인 인플레이션보다는 공급 가격 상승 요인에 따른 비용 인상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며 “세계 인플레이션 충격이 국내 경제에 부담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물가 관리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어 생활물가 안정을 통해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약화하는 것을 막고, 세계 식량 가격 상승 영향이 국내 식탁 물가 급등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수급조절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