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정부 고용지원 축소로 고용회복 제약
디지털·자동화 적합한 신규 일자리 창출해야

미국·영국·일본 등 세계 주요국의 고용이 올해 2분기부터 코로나19로 위축됐던 부문을 중심으로 빠르게 개선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반면 유럽은 고용 회복이 제약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내다봤다.

16일 한국은행의 ‘해외경제 포커스: 주요국 고용 상황 평가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주요국의 취업자수는 경제활동 재개 이후 상당폭 늘어났으나 금융위기 당시보다 더 부진한 수준이다. 지난해 4월 주요국 취업자수 감소폭은 코로나19 직전인 2019년 12월 대비 -7.8%(3381만명)까지 커졌다가 12월 -3.1%(1339만명) 수준까지 회복했으나 여전히 금융위기 감소폭(최대 -2.8%)을 상회하고 있다.

한은은 “현재 주요국 고용상황은 경제활동 재개 이후 상당부분 회복됐음에도 불구하고 금융위기 당시보다 더 부진한 상황”이라며 “특히 최근 들어서는 고용 개선세가 다소 주춤해진 가운데 기업들의 채용 계획도 활발하지 않고, 노동시장 이탈이 확대된 가운데 장기실업 및 영구해고가 늘어나고 있어 실업 고착화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고 밝혔다.

주요국의 경우 단기적으로는 올해 2분기부터 서비스업 정상화 등에 힘입어 고용상황이 상대적으로 빠르게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유럽은 업황 회복 효과가 당분간 근로시간 확대로 이어지면서 본격적 고용회복은 제약될 것으로 내다봤다.

한은은 “올 2분기부터 백신보급으로 코로나19 위기가 진정되고 경기회복이 가속화되면서 그간 위축됐던 부문을 중심으로 고용이 빠르게 개선될 것”이라며 “다만 유럽의 경우 경기회복이 본격화되면 재정건전성 제고 등을 위해 정부의 고용지원 축소가 불가피해 업황이 회복되더라도 기업은 고용을 추가로 늘리기보다 근로시간 확대로 대응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중장기적으로는 고용회복이 완만해질 것으로 내다봤다. 팬데믹으로 휴업 중인 영세업체 중 일부가 영업재개에 실패할 가능성이 있는 데다 노동투입 비중이 상대적으로 작은 대형기업의 시장점유율이 높아지면서 고용개선이 제약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코로나19로 노동절감형 자동화 투자, 온라인 소비 등이 확대됐는데 이러한 현상은 팬데믹 이후에도 지속될 것으로 조사돼 기존 일자리가 상당폭 소멸될 소지도 적지 않다.

한은은 “고용이 장기적으로도 보다 확대되기 위해서는 디지털·자동화 등 새로운 경제구조에 적합한 크리에이티브 직종, 과학·기술·엔지니어링 등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해야 한다”며 “근로자에게 관련 교육·훈련 기회를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긴요하다”고 지적했다. /뉴시스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