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에 자율적 가이드라인이 장려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18일 ‘ESG의 지배구조 개선과 기업가치’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ESG는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의 합성어다. 과거 수익성 향상에 매몰됐던 기업 활동을 친환경, 사회적 책임, 지배구조 개선을 고려하자는 취지에서 자본시장을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ESG경영을 하지 않는 기업에게는 투자를 하지 않겠다는 선언이 이어지면서 기업들도 발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ESG를 투자 지표로 활용하는 글로벌 투자금액은 2014년 21조4000억 달러에서 2020년 40조5000억 달러로 두배가량 증가했다. 2020년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인 블랙록은 투자 최우선 순위를 ESG로 발표하였으며, 국민연금도 2022년까지 전체 운용 자산의 절반을 ESG에 투자한다고 밝혔다.

우리 기업도 이런 흐름에 발맞춰 ESG경영을 최우선 과제로 내세우고 있다. 한경연은 국내기업들이 사외이사를 이사회 의장으로 선임하고 이사회 의장과 대표를 분리하는 등 이사회의 독립성과 투명성을 강화하고 있으며 ESG 경영을 위한 컨트롤타워를 신설하는 긍정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고 평가했다.

삼성은 이사회 과반을 사외이사로 구성하고, 준법감시위원회를 설치했다. 현대자동차도 ESG경영을 위한 컨트롤타워로 지속가능경영위원회를 세웠다. ESG경영을 제일 빨리 도입한 SK는 이사회 중심의 지배구조 혁신 전략을 실시하고, ESG위원회를 실시하고 있다.

한경연 측은 “글로벌 기업의 경우 경영진 성과 보상, 다양성 측면 보안 등을 강조하는 반면 우리나라는 지배구조 개선 등에 포커싱하고 있다”면서 “이는 우리 기업들에 대한 지배구조 우려가 높았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한경연은 ESG경영은 수익성도 고려해서 추진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환경, 사회분야에 대한 투자가 곧 기업의 재무적 성과로 연결된다는 근거는 아직 미약하다는 판단에서다. 이규석 한경연 부연구위원은 “기업이 환경, 사회, 지배구조 문제에 대해 ESG 경영으로 단순히 대응하면 수익성을 낮추고 재무적인 리스크가 발생할 수도 있다”면서 “ESG는 사회 전체적으로 긍정적일 수 있지만, ESG를 개별 기업의 수익성 지표로 사용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런 상황에서 ESG경영평가를 시장 자율적 가이드라인에 맡겨야지 정부가 규제 방식으로 접근하는 것은 자제해야 한다는 게 한경연의 주장이다. 정부에서는 금융위원회 중심으로 ESG 공시제도 개선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자율적으로 작성하고 공시하는 지속가능경영보고서 공시를 단계적으로 의무화하는 방식이다. 2025년부터 2030년까지는 자산 2조원 이상, 2030년 이후에는 전 코스피 상장사를 대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이 부연구위원은 “탄소중립 등 정부가 규제 관점에서만 접근하면 기업들이 충분한 경쟁력을 발휘하기 어렵기 때문에 기업과 시장 중심에서 ESG경영이 확산돼야 한다”면서 “ESG가 자본시장에서 자율적인 가이드라인으로 장려돼야 하며, 정부의 압력이나 규제 관점으로 이뤄져서는 안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뉴시스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