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설

건설에도 미래가 성큼 다가왔다. 스마트 건설의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건설산업에 수식어처럼 따라다니던 낮은 생산성과 숙련 인력 감소, 잦은 안전사고 등 문제점을 일거에 해소할 수 있는 건설 메타버스가 점점 현실화하는 것이다. 

스마트 건설기술은 전통적인 건설기술에 로보틱스, AI(인공지능), BIM(빌딩정보모델링), IoT(사물인터넷) 등의 첨단 디지털 기술을 융합시킨 공법이나 장비, 시스템 등을 말한다. 건설공사의 모든 단계가 데이터 중심의 플랫폼을 기반으로 디지털화, 자동화되고 공장 생산-현장 조립(OSC·Off-site Construction)이 가능해진다. 또한 공사 기간과 투입 인력이 획기적으로 절감돼 생산성과 공사품질은 물론 안전성까지 크게 향상된다. 쉽게 말해 측량과 설계부터 시공과 유지·보수까지 모든 과정을 BIM이나 드론, 로봇 등 첨단 디지털 기술·장비가 대신하는 것이다.

국토교통부는 지난달 30일 ‘스마트건설기술 활성화지침’ 제정안을 고시하고 시행에 들어갔다. 지침은 일종의 정보공유시스템인 ‘스마트건설기술마당’과 건설기술 및 공사비 검토를 위한 전문기관을 설치, 운영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또 스마트 건설기술 적용 건설공사의 사후 의견 작성 및 활용에 관한 사항과 건설공사의 단계별 스마트 건설기술 및 스마트 기술의 건설공사 활용 분야 등을 예시하고 있다.

국토부는 이와 함께 2022년 예산안 60조8000억원 중 SOC 스마트화 투자에 2조4808억원을 편성했다. 이는 IoT, 빅데이터 등 첨단기술과 SOC의 융합을 통해 도로·철도·교량 등 노후화된 기반시설을 효과적으로 유지·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SOC 안전이 상당히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현 정부가 추진 중인 한국판 뉴딜의 SOC 디지털화도 같은 맥락이다. 즉, 교통과 디지털 트윈, 수자원, 재난 대응 등 4대 핵심 인프라를 디지털로 안전하게 관리하겠다는 것이다. 또한, 도시와 산업단지를 디지털화하고 스마트 물류체계를 구축하겠다는 것이다. 국토지리정보원도 지난 7일 미래 공간정보 인프라 구축을 위한 국토 위성과 디지털 트윈 국토 원년 선포식을 했다. 이 모든 사업의 토대는 스마트 건설기술의 보편화다.

스마트 건설기술과 관련해 지금까지는 주로 대기업과 엔지니어링사들이 주도적으로 나서면서 정부가 이를 뒷받침하고 도와주는 모양새다. 이에 비해 중소 시공업체들의 경우 아직은 크게 실감하지는 못하는 분위기이다. 그러나 과거 100년, 50년씩 걸리던 변화 속도가 디지털 세상에서는 5년 혹은 1년으로 확 줄어든다. 실시간이고 초고속이다. 기계가 움직이는 비대면이 기본이고 산업 간 경계도 허물어진다. 빅데이터와 AI 기술로 맞춤형 생산과 서비스가 가능해진다. 공상과학 영화에서 보던 장면이 어느새 눈앞에 실현되는 시대이다. 이제는 시공업체들도 본격적으로 뛰어들어야 한다. 전통적 건설방식에만 안주하다가는 도태될 가능성이 크다. 우선 당장 할 수 있는 스마트 기술부터 도입하고, 필요하면 스스로 개발도 한다는, 진취적인 자세가 요구된다.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