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사업은 발주자, 설계자, 시공자, 감리자 등 다양한 주체들의 참여를 통해 이루어지는 일련의 활동이다. 건설사업의 성공은 다양한 참여주체들 사이의 신속하고 정확한 의사전달을 통해 관리될 수 있다. 정보기술은 건설사업 참여자들 간 디지털화된 정보의 신속한 교환과 공유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성공적인 건설사업 수행에 기여한다.

건설 CALS 성과거둬

특히 건설교통부는 정보기술을 이용한 건설사업의 효과적 관리와 시행을 위해 건설사업정보화(건설CALS)를 추진하고 있다. 현재 5개 지방국토관리청의 1천여 개 현장이 건설CALS 시스템을 활용하고 있으며, 각 공사·공단 역시 건설CALS 사업을 통해 기존 시스템들을 정비하고 신규 시스템을 개발하는 등 그동안 공공발주기관을 대상으로 많은 성과가 이뤄졌다.

공공 발주기관의 정보화 시스템 도입에 따라 건설사업 참여자는 디지털화된 정보를 신속하게 교환하고 공유할 수 있게 됐으나, 건설사업의 정보화가 모두 이뤄졌다고 보기에는 아직 어려운 점들이 존재한다. 건설 사업주기 전반의 정보관리를 위해서는 각 단계별 정보화에 균형 있는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건설분야 정보화는 공공부문과 대형건설사를 중심으로 추진돼 왔다. 투자 여력이 있고, 비교적 정보화가 용이한 발주기관과 대형건설업체 본사 중심의 정보화가 이뤄진 것이다.

중소업체 솔루션 부족

건설 정보화 추진의 불균형은 공공과 민간, 대형과 중소건설사 간 정보화 격차를 초래하고 있다. 공공발주기관과 대형건설사는 자체적인 솔루션과 인적자원을 통해 정보화 체계를 구축해 데이터를 축적·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여력이 없고 정보화가 어려운 현장과 중소규모 협력업체는 자체적인 솔루션과 인력 없이 정보화 요구에 대응해야 하는 상황에 처하게 된 것이다. 정보화 시스템이 현장과 협력업체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활용하지 못하게 되면 데이터 입력과 가공에 과다한 비용을 지출하게 돼 정보화의 효과는 떨어지게 된다.

민간건설분야 촉진필요

정보화 격차에서 오는 이러한 원천 데이터 생산문제를 해소하고, 이미 개발된 시스템의 적극적인 활용을 위해 공공부문에서는 이들을 지원하기 위한 추가적인 시스템을 개발하는 등 하부 디지털 정보 생성을 직접 지원·관리하고 있다. 디지털 정보의 활용을 위해 발주기관 및 원도급사 중심의 일관된 데이터 생산·교환·유통·관리 체계가 도입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와 같은 공공발주기관과 대형건설사 중심의 정보화 시스템 개발 및 운영은 초기 도입단계에서는 불가피한 정보화 수단으로 볼 수 있지만 향후 지속적인 시스템 기능 확장과 다양한 사용자 요구에 부응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정보화 격차를 해소하고, 현재의 건설정보 시스템의 지속적인 발전을 보장하면서 건설분야 정보화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취약한 민간 건설분야의 정보화를 촉진할 필요가 있다.

민간부문의 건설 정보화의 확대를 위해 공공부문은 공통으로 이용 가능한 핵심 모듈과 기반 시스템의 개발·보급에 중점을 둘 필요가 있다. 또한 각종 건설정보 시스템의 상호 연계 및 데이터의 공동 활용을 위해 관련 정보의 생성·관리 기준과 정보화 표준을 제시해야 한다. 민간 및 공공의 시스템과 각종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가 이러한 공통 기준 및 표준을 활용할 경우 시스템의 상호운영성이 증대되고 건설산업 전반의 데이터 생산 비용이 절감될 것이다.

핵심모듈 개발·보급 시급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원천 데이터의 디지털화와 재가공 비용 감소는 정보화 시스템 도입을 통해 얻고자 했던 생산성 증대와 경쟁력 확보 효과를 가져올 것이다. 공통된 기술 기반의 제공을 통해 민간의 정보화 투자에 대한 실무 활용성을 높임으로써 민간의 기술개발 및 투자 확대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공통적인 기준 및 표준에 따라 정보의 생성과 활용체계를 구성함으로써 공공 및 대형건설사들의 독자적인 시스템 개발비용 역시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건설정보화 표준 개발은 우리나라 건설산업의 자동화·정보화·지식화를 앞당기는 데 큰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건설기술연구원원장〉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