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동성 악화로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이나 퇴출 절차를 밟는 등 구조조정을 추진해야 하는 16개 건설회사 명단이 지난달 25일 공개된 이후 전문건설 하도급업체들에 불똥이 튈까 우려된다.

구조조정 대상 업체와 거래하는 영세한 하도급업체들이 공사대금을 받지 못해 연쇄 부도를 당할 위험에 노출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하청업체들이 갖고 있는 어음을 서둘러 자금화할 수 있도록 숨통을 터주는 등 정부와 금융계는 구조조정의 후속대책을 서둘러야 할 것이다.

하도급금액 중 약 40%를 어음으로 갖고 있는 하도급 전문건설업체들은 당장 건설근로자의 임금, 자재대금, 건설기계 대금 등을 지불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들 대금은 제때 지불되지 않을 경우 관련 업계의 줄지은 부도나 근로자들의 생활난으로 이어져 경제에 주는 충격이 일파만파로 확산될 수 있다.

금융당국은 구조조정 대상업체를 발표하면서 하도급 업체가 받은 어음 등에 대해서는 업체가 어음할인과 외상매출채권 담보대출 등을 요청할 경우 적극 지원토록 하고 일시적 유동성 부족 협력업체에 대해 패스트트랙 프로그램을 우선 적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자금 지원’약속 공수표 안되게
그러나 우리는 과거 경험에 비추어 보면 당국의 약속이 제대로 이행되지 않은 사례가 많았던 점에서 보다 세심한 배려를 당부하는 것이다.

어음 제도만 해도 정부가 여러번에 걸쳐 대대적인 개선을 공약했음에도 여전히 업계에서는 대금의 외상거래인 어음이 건재하고 하도급업체는 울며겨자먹기로 어음을 받아쥐고 자금화하려면 몇 달을 기다려야 하는 게 현실이었다.

이런 어음은 이번처럼 원청 업체들의 구조조정 등 대형 충격에서는 업체 신용도 하락으로 할인까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은 물론 할인율마저 뛰어 하도급업체들은 대금의 회수가 늦어지면서 손해까지 더 감수해야 할 판이다.

먼저 금융계는 중소형 건설업체가 갖고 있는 어음에 대해 최우선적으로 결제되도록 돈을 푸는 데 인색하지 말아야 한다. 금융당국은 당분간 매일 매일 은행 등 금융기관을 감독해 하도급업체에 대한 자금지원이 제대로 이루어지는지 점검해줄 것을 당부한다.

말로는 자금지원을 한다고 해놓고 실제 금융기관들은 뒤로는 정부의 말과 달리 ‘안전위주’로 나몰라라하는 일이 비일비재해왔기 때문이다. 정부의 말이 공수표가 되지 않도록 철저히 사후 조치를 취해야 한다.

일부 상환면제와 저금리 유지를
부도가 나거나 화의 대상이 된 종합건설업체의 하도급업체에게는 신용보증기금의 보증한도를 늘려주고 금융기관들이 대출 만기를 연장해주는 세심한 조치도 마련해야 한다.

기업들의 대출금중 일부상환 면제나 낮은 금리 유지 등 하도급 업계가 절실히 요구하는 사항들을 정부나 금융계는 최대한 수렴해 대책을 서둘러 주길 바란다. 현재 건설업계는 부동산 경기 침체 장기화에다 업체 구조조정으로 극도의 위기 상황을 맞고 있다.

일부 종합건설업체의 구조조정이 불가피하다 하더라도 구조조정의 여파로 근거없는 소문까지 나돌아 건설업체에 대한 지원을 누구나 꺼리기 십상이다. 이런 때일수록 금융기관들은 중소형 건설사에 대한 자금 지원에 소매를 걷고 적극 나서줄 것을 요청한다.

잇따른 부도로 확산되지 않게 구조조정 충격의 고리를 끊어 건설업의 성장잠재력을 보존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