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옥산리의 한택식물원(원장 이택주ㆍ70)에 가면 30년간 집념의 열정으로 꿈을 이룬 인간승리의 작은 기적을 보게 된다. 20만 평의 야산에 자리잡은 한택식물원은 그 규모가 사립으로는 동양 최대일 뿐 아니라 확보하고 있는 식물종(種)으로도 세계적인 식물원에 손색이 없다.

연간 22만여 명의 관람객이 찾는 한택식물원에서는 9000여 종의 자생 및 외래식물이 자라고 있다. 모란작약원, 수생식물원, 비비추원, 호주온실, 나리원 등 35개 테마정원을 모두 보려면 2시간 넘게 걸린다. 호주원에는 생텍쥐페리의 소설 《어린왕자》에 나오는 바오밥 나무와 코알라의 주식인 유칼립투스가 눈길을 끈다. 지난달 29일 식물원에서 챙이 넓은 카우보이모자를 쓴 이 원장을 만났다.

재단법인 한택식물원 이택주 원장
35개 정원에 자생식물 등 9천여종
20여만 평 규모 사립으론 동양최대
멸종희귀보호식물 연구 보전 앞장

그는 한양대 토목공학과를 졸업하고 건설회사에 다니면서 60년대 말 고향인 이곳에 목장을 만들어 젖소와 한우를 키웠다. 10여 년 뒤 소값 폭락으로 낙농업을 접고 유럽을 여행하던 중 아름다운 식물원을 보고 새로운 꿈을 꾸기 시작했다.

귀국 후 조사해보니 유엔 가입국 중 우리나라만 식물원이 없었다. 북한도 두 개나 보유한 식물원이 없는 현실을 안타깝게 생각한 이 원장의 야생초화류지킴이 외길인생은 그때부터 시작됐다.

◇이택주 원장이 생텍쥐페리의 소설 《어린왕자》에 나오는 바오밥 나무 앞에서 활짝 웃고 있다.

전국의 산야는 물론 중국과 티베트의 고산까지 찾아다니며 희귀품종을 채집했다. 이 무렵 주변에서 비싼 땅을 놀리며 꽃과 풀만 찾아다니는 정신 나간 사람이라는 소리도 많이 들었다.

그래도 흔들리지 않고 1981년 한택식물원을 설립했다. 당시는 식물원은커녕 우리나라의 자생식물들이 잡초처럼 홀대받던 시절이었다. 이 원장은 1993년 진퇴양난의 딜레마에 빠졌다. 사재를 쏟아붓다보니 한계에 달한 것이다.

결국 식물원을 접으려 할 때 한줄기 빛이 보였다. 우리나라가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CITES)과 생물다양성협약(CBD)에 잇달아 가입한 것이다. 한택식물원이 정부와 환경단체 및 언론의 집중조명을 받으면서 재기의 발판이 마련됐다.

2001년에는 한택식물원은 개인의 자산이 아니라 식물을 사랑하는 모든 사람이 공유해야 한다는 사명감에서 비영리 재단법인으로 등록했다. 2003년 5월 정식으로 개장한 한택식물원은 한택조개나물, 노랑무늬참빗살나무, 작은노루오줌 등 50여 품종을 개발해 국제특허를 획득했으며 자생식물의 채소화, 약용식물 개발 등 다양한 연구프로젝트를 실행하고 있다.

환경부 지정 희귀멸종위기식물 서식지외(外) 보전기관으로 개병풍, 깽깽이풀, 노랑무늬붓꽃, 대청부채, 산작약, 연잎꿩의다리 등 희귀멸종위기식물도 보전하고 있다. 울릉도 고추냉이, 주왕산 둥근잎꿩의비름, 설악산 설악눈주목의 자생지 복원사업도 벌였다.

2004년 완공된 식물연구소는 대량번식기술을 바탕으로 멸종희귀보호식물의 연구와 기술보급에 앞장서고 있다. 이 원장은 “친환경 녹색성장이 이 시대의 화두이지만 아직 식물원법조차 없는 실정”이라며 “모든 동물의 먹을거리가 식물에서 나오는 만큼 다양한 식물종을 보전해서 후대에 물려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또 “2만5천 여 식물종을 보유하고 있는 영국의 큐 왕립식물원(Royal Botanic Gardens, Kew)과 견줄 수 있는 식물원 만들기에 여생을 바치겠다”고 덧붙였다. 식물원을 나서면서 조금 전 보았던 낙우송(落羽松)의 끈질긴 생명력이 그의 품성을 닮았다는 생각을 했다. 테마정원 암석원 연못에는 낙우송 몇 그루가 땅이 아닌 물속에 튼실한 뿌리를 내리고 자라고 있었다. 보라색 꽃을 은하수처럼 피우는 깽깽이풀을 가장 좋아한다는 고희(古稀)의 이 원장이 행복해보였다.  /설희관 <언론인ㆍ시인>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