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수요 창출 한계로 구조조정 필요
미래 트렌드 파악하여 선제적 전략 강구
정부는 건설 경쟁력 강화 위해 지원해야

미국의 경우, 서버프라임 사태로 인해 주택경기 나아가 경제 전반의 침체로 많은 어려움을 겪었지만, 작년 하반기 이후 건설 지출이 차츰 회복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고용 등 경제 전반의 지표도 호조를 보이고 있다.

특히 글로벌 금융위기하에 정부는 대규모의 재정지출과 부동산 침체에 대응한 각종 세제지원 등 조치를 취하였다. 작금의 일부 주의 미국 부동산 특히 주택시장은 완만하고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본격적인 건설경기의 회복은 아직 판단하기 이르다.

이러한 경제지표의 호조와 부동산 경기의 회복세에 고유가가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시중 휘발유 가격은 올해 갤런 당 40달러 수준이며, 조만간 50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되기도 한다.

경제회복에 따른 원유소비의 증가와 건설 생산원가의 증가로 인한 건설업체의 수익성 악화를 초래하여 건설업체의 원가 절감 및 구조조정을 요구하기도 한다.

특히 이번 대통령 선거전에 있어서, 고유가를 오바마 정부의 정책실패에 대한 책임으로 돌리는 등 선거쟁점으로 자리 잡고 있다. 물론 정부 비축유를 방출하여, 유가를 낮추는 것도 한계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미국 내 원유 생산의 감축과 이란 사태의 진전에 따라 유가는 더욱 치솟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러한 상황은 우리나라의 경우도 예외가 아니다. 유가상승으로 올해 들어 석유 수입의 GDP비중이 최고에 달하고 있으며, 고유가는 국내 석유 관련 제품의 소비가격의 상승과 건설 생산비용이 증가함으로써 건설업체의 수익성 악화에 한몫을 할 전망이다. 따라서 유가 상승에 대응한 건설산업 부문의 생산원가 절감을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하지만, 해외건설 차원에서는 유가 상승은 긍정적 요소로 작용한다. 유가와 우리나라의 중동지역의 수주 규모 간의 상관관계가 매우 높은 상황을 감안할 때, 중동지역 국가의 발주 규모 상승으로 우리 건설업체의 수주 가능성은 크게 높아질 가능성이 크며, 올해 해외건설수주 700억 달러도 중동지역의 수주액 증가에 따라 수월하게 달성할 가능성도 크다.

국내 건설 수요의 회복세 지연과 고유가로 인한 건설 생산원가 상승 등으로 올해 국내 건설시장의 전망은 낙관적이지 못하다. 향후 국내적 건설 수요는 급격한 증가를 기대하기도 어려운 실정이며, 저성장 시대에 있어서 건설시장의 외연적 규모 증가는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현재와 같은 업체 수, 시장 구조, 행태하에서는 건설업체의 경영난은 일시적인 아닌 영속적인 것이 될 것이다. 건설시장의 구조조정이 필연적이다. 건설시장에서의 생존을 위해서는 시장 수요 창출과 대응 전략 여하에 달려 있다.

따라서 현재와 같은 기업경영 전략으로는 새로운 수요의 창출에는 한계가 있으며, 미래의 건설 수요 트렌드를 파악하여 선제적 신 경영전략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정부 주도적인 건설경기 활성화는 타 경제부문과의 배분 효율성 차원에서 더더욱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정부의 건설산업 활성화를 위한 역할에는 많은 한계에 봉착할 것이다.

따라서 민간 수요 창출을 위한 건설 부문의 노력과 향후 건설 수요 트랜드를 파악하여 이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노력이 중요하게 부각될 것이다.

한편, 고유가 시대의 건설산업은 국부의 창출을 위한 효자산업으로 등장한다.
하지만 국내 건설 생산기반 및 관련 산업의 뒷받침이 없다면, 건설산업의 해외경쟁력 제고에 한계가 있다. 정부 및 기업 차원에서 건설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제도 및 정책, 기술차원의 노력이 지속적으로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해외건설산업의 활성화가 저성장 시대의 건설산업을 위한 돌파구로 작용하기 위해서는 해외건설의 국내 고용 및 생산유발효과가 극대화되도록 하여 해외건설의 국민경제기여도를 제고하여야 할 것이다.

고유가에 따른 경제전반의 부담을 해외건설을 통해 극복하고 동시에 건설산업의 대국민 인식을 제고하는 계기로 삼을 필요가 있다. /국토연구원 연구위원 김성일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