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 전 신문에 문화체육관광부가 연예인의 하루 촬영을 18시간으로 제한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는 기사가 실렸습니다. 드라마나 예능프로 등에 출연하는 탤런트나 가수들이 이른바 쪽대본이나 밤샘 촬영 등으로 혹사당하는 일을 막기 위해서라고 합니다.

사실 우리나라 TV드라마 출연 탤런트들이 촬영 현장에서 혹사당한다는 이야기는 어제오늘 일이 아니지요. 불과 몇 개월 전만 해도 한예슬인가 하는 탤런트가 촬영 스케줄이 살인적이라며 촬영을 거부하고 미국으로 가버려 한동안 이야깃거리가 된 적이 있습니다.

또 어떤 여자 탤런트는 30시간 내내 눈을 뜨고 촬영을 한 적이 있다고 털어놓은 적이 있습니다. 사정이 그러하니 하루 촬영시간을 최소 휴식시간 6시간을 제외한 18시간으로 줄여 그들의 ‘권익’을 보호해 주겠다는 것인데, 18시간도 그렇게 짧은 것 같지는 않습니다.

그런데, 연예인만큼은 아니어도 업무량이 살인적이기는 마찬가지인 우리나라 월급쟁이들은 이 뉴스를 어떻게 받아들일까 궁금합니다.

우리나라 유수의 건자재 업체에 취직한 선배 아들이 있습니다. 선배 말에 따르면 출근 첫날부터 야근을 하더니 거의 매일 밤 12시 전후에 집에 들어오더랍니다. “그렇게 야근을 시키면 저녁에 밥은 제대로 먹냐, 야식비는 주더냐”라고 물었더니 아들은 “야식비는 무슨 야식비요, 사무실 캐비닛에 컵라면만 잔뜩 들어있어요”라고 말하더랍니다.

재벌기업에서 해외영업을 하는 또 다른 선배 아들은 해외출장이 잦습니다. 한 번 비행기를 타면 일주일이나 보름씩 돌아다니다 귀국하는 시각이 아침이면 바로 사무실로 나가 출장보고서를 작성해야 하고, 밤에 도착하면 집에 들어가 아내와 아이를 잠깐 보고 눈 붙인 후 쉴 틈 없이 출근해서 출장보고서를 쓰고 밀린 업무를 처리해야 한답니다.

토요일이건 일요일이건 상관없이 그렇게 해야 한다는데, 그러다 보면 3주 연속 휴일 없이 일하는 때도 있다고 합니다. 눈치가 보여서 대체휴일을 내기도 쉽지 않답니다.

국내 2~3위를 다투는 재벌계열 보험회사 고위 임원인 친구가 있습니다. 강남의 큰 아파트에 살면서 운전기사 딸린 승용차가 있고, 주말이면 이 차 뒷자리에 앉아 골프를 치러가는 ‘잘 나가는’ 친구입니다.

제가 물어봤지요. “왜 재벌회사들은 젊은 직원들을 그렇게 혹사시키냐, 니네 회사도 그러냐. 젊은이들이 무슨 삶의 재미가 있겠느냐”고요. 이 친구 대답이, “나도 아직 그렇게 산다. 새벽 5시 반에 깨서 6시 50분이면 사무실 내 자리에 앉는다. 신문 훑어보고, 업무자료 후딱 읽어보고 간부회의 주재하고, 그러면 아침시간 다 지나간다.

오후는 좀 한가하지만 그렇다고 놀 수는 없지. 좀 더 오래 월급 받고 살려면 뭐 하는 척은 해야지. 저녁에는 또 이런저런 약속 자리 갔다가 집에 오면 보통 9시야. 그것보다 늦을 때도 많고. 이 짓하며 산 지가 30년 넘었어!”라는 겁니다.

그러고 보니 제 젊은 날도 만만치 않은 삶이었네요. 초년병 사회부기자 때는 4일에 한 번 야근을 했는데, 아침 10시에 출근해 다음날 새벽 4시까지 서울 시내 경찰서를 밤새 돌아다니는 그런 야근이었습니다. 17~18년쯤 지나 부장이 됐을 때도 일주일에 한번은 밤을 새워야 했지요. 지금 생각해도 지긋지긋하기만 합니다. 물론 직군에 따라 저보다 더 심하게 야근하는 선후배도 많았습니다.

월급 주는 사람들, 즉 세상의 갑들은 “열심히 일해라. 그러면 보답 받는다”라며 세상의 을들을 다그치지만, 또 그렇게 열심히 한 결과가 자신을 갑으로 만들어 주었겠지만, 열심히 일해도 갑이 되기는 갈수록 어려운 요즘에, 이 말을 곧이곧대로 받아들이는 젊은이들이 그리 많을 것 같지는 않습니다.

저나 제 친구는 그나마 운이 좋아 아직 일하면서 월급 받고 살지만 휴일 없이 일하고 또 일하는 세상의 보통 아들과 딸들을 보면 마음이 아려옵니다. 일 덜하고 행복하게 살 수 있는 세상을 누가 만들어줄 수 없는지, 헛된 생각을 품어봅니다. /정숭호 코스카저널 주간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