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로 도심지홍수 잦아 각국 고민
제방·댐 재정비하고 불투수면은 줄여야
홍수 예·경보 시스템도 도시 내 설치를

한 조사에 따르면 OECD 회원국에서 전 세계 주요 기상재해의 37%가 발생하고 경제적 손실도 63%에 달한다. 선진국의 경우 사람과 시설물이 밀집되어 있는 도심지에서 홍수 증가로 피해액이 커진다.

최근 기후변화 영향으로 한 지역에 짧은 시간 동안 많은 양의 비가 내리는 국지성 호우 및 도시 하수관거의 처리용량을 초과하는 빗물로 인한 도심지 홍수 및 물관리가 최근 전 세계적인 이슈로 떠올랐다.

그러면 국내의 경우에는 향후 어떻게 도심지 홍수에 대처해야 할까?
첫째로, 제방 또는 댐의 건설과 같은 기존의 구조물적 홍수대처 방안을 점검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기존의 제방이나 댐들이 과연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홍수에 잘 대처할 수 있는 시설인지를 평가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최근 여름철의 비가 내리는 양상이 변하고 있다. 기상청 자료에 따르면 여름철 평균 강수량이 1976년과 1985년에는 661mm, 1986년과 1995년에는 710mm, 1996년과 2005년 사이에는 814mm로 크게 증가했다. 더 중요한 사실은 1996년 이후로 여름철 빗물의 양은 많아졌지만 비가 오는 날은 줄어들고 있다. 즉 집중호우가 내릴 확률이 해마다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현재의 제방이나 댐 등이 이러한 기후변화로 인한 홍수 발생 시 제대로 역할을 할 수 있는지를 점검해야 한다.

또한 도시의 경우에는 빗물이 땅속으로 스며들지 않는 아스팔트나 콘크리트 같은 불투수면을 줄여야 한다. 도시의 불투수면으로 인해 내린 비의 대부분이 일시에 하수관거로 몰려 도심지 홍수를 발생시킨다. 콘크리트 옹벽의 경우에는 생태녹화가 된 친환경 옹벽으로 바꾼다거나 도시의 건물이나 빌딩에는 옥상녹화나 벽면녹화의 보급을 통해 도시의 불투수면을 조금이라도 줄일 수 있다.

이밖에도 하수관거의 빗물처리용량을 높여 국지성 호우에도 빗물을 도로나 보도로부터 잘 배수되게 한다. 국지성 호우가 잦아지고 있는 시점에서 국내의 대도시에 지하우수 저류시설의 도입이 필요하다.

둘째, 이러한 구조물적 홍수 대책 외에도 홍수피해를 예측하고 사전에 홍수피해를 줄이고 막을 수 있게 하는 첨단 기술이나 기법이 하루빨리 도입돼야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인공위성이나 레이더와 같은 첨단장비를 이용해 빠르고 정확하게 홍수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홍수 예·경보 시스템이 널리 보급·구축돼야 한다. 그러나 아직 국내에는 관련 연구가 초기단계에 머물러 있어 이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가 요구된다.

기존 큰 하천지역의 홍수 예측을 위해 이용되던 우량계를 활용한 지점(땅위의 일정한 점)의 강우량 측정 방식으로는 도심지의 국지성 호우에 대비하는 데 한계가 있다. 도심지에서는 우량계를 이용한 강우량 측정시점과 국지성 호우로 인한 침수피해시점의 시간 차가 매우 짧기 때문에 강우량이 분석된 후 홍수에 대비할 시간적 여유가 없다.

최근 하천주변으로 새로운 도시가 많이 형성되어 하천의 홍수 발생에서 도심홍수 피해까지 걸리는 시간이 점점 짧아지고 있다. 또한 많은 수의 사람과 건물들이 밀집되어 있는 하천변의 도시는 홍수 발생 시 엄청난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첨단기술 도입을 통해 홍수를 미리 감지하고 예측하는 것이 중요해진다.

현재 국내의 홍수 예·경보시스템은 주로 하천에 구축되어 있다. 그러나 도시와 그 주변의 국지성 호우로 인한 피해가 사람들에게 더 위협적이기 때문에 홍수 예·경보 시스템을 도시 내나 가까운 주변에 설치해야 할 필요성이 커졌다. 이렇게 해야 홍수 예·경보시스템이 도심지 홍수피해 예방에 큰 역할을 한다.

세 번째로, 국내의 지형이나 기후에 맞게 구조물적 대처 방법 및 홍수 예·경보시스템의 활용이 서로 연계되어 효과적으로 활용돼야 한다.

도심홍수피해 예방을 위한 도시 지하공간 내 대형수로 건설 또는 하수관거 용량 확대 등은 홍수 발생이나 피해를 확실히 줄여 준다. 그러나 이럴 경우 비용은 눈덩이처럼 커진다. 따라서 구조물적 홍수대처방법을 홍수 예·경보 시스템 구축 및 활용과 같은 비구조물적 대책과 연계하여 적절한 비용과 노력으로 홍수피해를 효과적으로 줄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홍수발생시 대피나 대처방법 등에 대한 교육과 홍보를 통해 국민 개개인이 이를 숙지하게 해야 한다.

정부는 홍수발생 시 주민들의 대피 혹은 대처 방안과 같은 다양한 홍수관리 방안을 검토하여 적절한 방안을 도출해야 한다. 그리고 주민들에게 홍수 관리방안을 홍보하고 교육시켜야 구조물적 홍수대처방안과 홍수 예·경보 시스템이 홍수피해예방에 있어 빛을 발한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장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