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정부가 ‘정부 3.0’ 전략을 본격화함에 따라 빅데이터(Big Data)가 창조경제의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다.

정부 3.0 구상은 정부와 국민의 소통을 넘어 정부가 국민 개인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델로, 정부가 축적·보유한 공공정보를 새로운 창조 기반으로 활용한다는 것이 그 핵심이다.

즉 최근 대두되고 있는 빅데이터 기술을 통해 ‘국민행복증진사업’을 추진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런 기조에 맞춰 전 산업 분야에서 빅데이터 활용방안이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빅데이터란 ‘대용량 데이터를 획득, 저장, 분석해 가치 있는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의사결정이나 미래예측에 활용하는 기술’을 말한다.

지금까지의 데이터는 기업이 직접 수집해 이용해 왔지만 향후 정부가 공공정보를 체계화하고 공개하기로 함에 따라 더욱 다양한 분야에서 이를 이용하려는 시도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빅데이터 기술에서 중요한 것은 ‘정보’ 그 자체가 아니다. 많은 정보 속에서 의미 있는 정보를 도출해 부가가치를 부여하는 것이 빅데이터 활용의 핵심이다.

예를 들어 소비자의 소비행태에 맞춰 상품을 진열하고 인터넷 검색어에 따라 관련 광고를 게시하는 것과 같이 무수히 쌓이는 정보 속에서 새로운 가치를 찾아내는 것이 빅데이터의 진정한 의미인 것이다.

빅데이터에 대한 자료를 보다 문득 우리 건설업계의 실적공사비 문제가 떠올랐다. 수년간 축적된 계약단가를 토대로 예정가격을 산정하는 실적공사비제도는 그동안 우리 전문건설인의 피땀을 쥐어짜내는 불합리한 제도로 손꼽혀 왔다.

예정가격보다 낮은 수준으로 계약단가가 생성되고, 이 계약단가를 토대로 실적공사비가 축적되고, 다시 그 실적공사비를 토대로 예정가격을 정하다보니 공사비가 물가상승률조차 반영하지 못하는 실정이었다. 공공정보를 국민행복과는 무관하게 사용해 온 것이다.

업계에서는 계약단가가 아닌 평균 입찰가격을 대상으로 자료를 축적하고 자재가격 상승, 물가상승률 등을 반영해 달라고 요구하고 있지만 정부의 태도는 지지부진할 뿐이다.

과연 실적공사비 제도가 도입 초기 기대했던 효과를 얼마나 거두고 있는지, 그 효과가 전문건설인의 설움에 견줄 만한지 정부가 나서서 확인해 보고 빅데이터 활용에 대해 검토해 볼 것을 당부한다.

실적공사비 제도 개선을 시작으로 빅데이터 기술이 건설업에 적용된다면 건설산업 선진화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건설종사자들이 쏟아내는 무수한 정보를 활용한다면 적정 공사비를 비롯한 건설업계의 실태를 정확히 들여다 볼 수도 있을 것이다.

나아가 축적된 자료를 바탕으로 새로운 기술과 아이디어를 만들고 이를 통해 공사현장 안전사고 예측, 자재·장비·인력 배치의 효율성 제고 등 새로운 부가가치를 높이는 계기가 마련될 것이다. 건설업과 빅데이터, 강 건너 불구경할 문제가 아니다.   /김택승 코스카 인천시회 사무처장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