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22일은 여섯 번째 ‘건설기능인의 날’이었다. 국토부는 지난 2010년 ‘건설기능인의 자긍심 고취 및 사기 진작’을 위해 매년 11월22일을 건설기능인의 날로 제정해 포상 등 행사를 열어왔다.

올해도 모두 37명의 건설기능인들이 철탑산업훈장, 산업포장, 대통령 표창 등을 받았다. 모두 건설업에 장기간 종사하며 건설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로가 큰 사람들이다.

관련 세미나와 사진 전시회 등 부대행사도 열려 행사 참가자들이 건설 현장에서 힘써 일하고 있는 건설 근로자들의 헌신적인 노력과 열정을 공유하도록 했다. 

그러나 건설기능인력 수급이 지금처럼 계속된다면 ‘건설기능인의 날’ 행사의 취지와 의의가 불과 몇 년 못 가 크게 퇴색할 것으로 우려된다. 건설기능인력 부족이 지속적으로 심화되고 있는 실정에서 고령화 추세가 나날이 뚜렷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지난 10월 발표한 보고서 ‘주요국의 건설기능인력 육성 정책 동향 및 시사점’에 따르면 2013년 6월말 현재 건설근로자공제회의 DB 근로자 가운데 10~20대 청년 건설 근로자는 전체 DB 근로자의 10.6%에 불과한 반면 50대 이상 근로자는 50.5%를 차지해 건설기능인력의 고령화가 매우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앞서 지난 8월 발표된 건산연의 ‘2015년 하반기 건설기능인력 수급 및 임금 전망’ 보고서는 건설기능인력 수요와 공급을 각각 135만8000명과 110만1000명으로 예측, 25만명이 부족해진다고 내다본 바 있다. 건설기능인력 수급은 인력 부족이라는 양적 문제 외에 고령화라는 질적 악화라는 문제에 직면한 것이다.

무슨 방법이 있는가? 10월 보고서를 작성한 건산연 김민형 연구위원은 “현 시점에서 건설기능인력에 대한 새로운 직업적 비전을 제시하는 등 적극적인 육성정책을 통해 청년층 인력의 건설업 유입과 숙련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구체적으로는 건설기능인력에 대한 직업교육훈련체계가 잘 이뤄진 호주나 독일은 물론 우리와 유사한 문제를 겪고 있는 일본의 최근 대책 등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는 말이다.

즉, 호주나 독일은 국가 차원의 직업교육훈련을 강화하거나 표준화된 자격체계로 청년들에게 건설업 영업면허를 부여해 창업을 지원하거나, 직업훈련과 공교육, 자격의 연계를 통해 인력수급을 도모하고 있는 점을 염두에 둬야 한다는 지적이다. 일본 또한 건설기능인력 확보 육성 기금을 조성하는 등 다방면으로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무슨 방법을 동원하든 건설기능인력 수급이 정상화, 원활화되지 않으면 우리나라 건설상품의 품질과 생산성 저하를 피할 수 없다는 게 건산연의 예측이자 우려일 것이다. 여섯 번째 ‘건설기능인의 날’ 행사에 드리워진 우울한 전망이다.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