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 전 세계 도처에서 대규모 지진이 연쇄적으로 일어났다. 우리나라의 지진대책이 제대로 되어있는지 다시 점검할 시점이다. 

일본 남부 구마모토현에서 14일 규모 6.5의 지진이 일어난데 이어 이틀 뒤 16일엔 규모 7.5의 지진이 발생, 1000여명의 사상자와 20여 만 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남미 에콰도르에도 16일 규모 7.8의 강진이 엄습, 3000명 이상의 인명을 앗아갔으며 피해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비슷한 시기에 남태평양 비누아투에서도 규모 6.4~6.5의 지진이, 필리핀과 대만, 통가 등에서 강도 높은 지진이 연이어 발생했다.
 
이처럼 짧은 시기에 강진이 집중적으로 발생한 데 대해 일부에서는 ‘초대형 지진 도미노’의 전조로 받아들였지만 다행히도 최소한 일본의 지진과 에콰도르의 지진 사이에는 직접적인 연관은 없다고 한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이를 이유로 결코 지진 대책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이번 지진 발생 지역이 모두 환태평양 조산대에서 일어났기 때문이다. 환태평양 조산대는 일본과 동남아, 태평양군도, 알래스카, 북·남미의 태평양 연안으로 세계 활화산과 휴화산의 75%가 몰려 있어 ‘불의 고리’라고도 불린다. 
 
우리나라는 ‘불의 고리’에서는 벗어나 있으나 근래 들어 지진 발생이 잦은 것이 걱정된다. 한반도에서의 지진발생 건수는 80년대 16건에서 2000년대에는 44건으로 늘었고, 2013년에는 91건이 발생했다. 올해도 17건이 감지됐다. 2000년대 들어 규모 3.0의 지진은 30여 건이나 일어났다. 우리나라가 결코 지진 안전지대는 아닌 것이다.  
 
일본 구마모토현의 지진 피해는 막대하다. 그러나 일본이 그동안 국가 차원의 지진대책을 수립, 실행해 오지 않았더라면 몇 배나 더 큰 피해가 일어났을 것이다. 일본은 오래 전부터 건축물과 공공시설 등에 대한 내진설계의 적용은 물론 지진 발생 시 대피요령과 구조 및 구호활동 요령 등을 전 국민을 대상으로 꾸준히 홍보, 교육해 와 이번 지진 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었다. 
 
우리나라도 1988년부터 6층 이상 건축물에 대해 내진설계를 의무화하고, 2005년부터는 3층 이상 건축물로 확대하는 등 지진대책을 수립했지만 1988년 이전 건축물과 1988년부터 2005년 7월 이전에 지은 3~5층 건축물은 지진에 매우 취약한 실정이다. 국민안전처는 올 1월 2005년 이전에 건축한 3층 이상 민간 건축물 대부분이 내진성능이 없다고 밝혔다. 또 내진설계 대상 공공시설물의 절반 이상이 내진보강을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건물 10곳 중 7곳이 지진을 제대로 감당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이런 상태에서는 구마모토현의 지진과 비슷한 규모의 지진이 일어난다면 우리의 피해는 걷잡을 수 없을 정도로 커지게 된다. 나중에 땅을 치기 전에 지금 당장 그동안 세우고 집행해온 지진대책을 다시 점검해야 한다.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