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3 총선이후 기업 구조조정이 본격화되고 있다. 조선, 해운, 철강, 석유화학, 건설 등 5대 취약 업종 가운데 상대적으로 취약한 조선과 해운이 우선 구조대상이지만 건설도 예외일 수는 없다. 건설업은 경기민감업종 대상에서는 제외됐지만, 상시 구조조정의 틀 안에는 여전히 남아 있게 됐다.
 
건설업은 이미 지난 2009년 금융당국과 시중은행에 의한 구조조정의 아픔을 경험한 바 있다. 그 당시 건설업은 이미 상당수 부실기업을 솎아냈다. 또한 지난해부터 현재까지 수주고도 높아 경영상의 불안요인이 당분간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는 정부 판단으로 경기민감업종에서 빠져나오게 된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마음 푹 놓고 안심할 상황도 아니다. 지난해 반짝했던 주택경기의 계속성 유무, 저유가에 따른 해외시장 고전 등 복병이 여기저기 도사리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가 사회간접자본(SOC) 재정에 대한 구조조정에 나선 것도 건설업을 불안케 하는 요인이다. 또한 수주산업에 수조원 이상의 여신이 물려 있는 금융권이 불안해져 돈줄을 옥죌 경우 일부 건설업체들의 자금난이 가중될 수 있다.
 
정부의 산업 구조조정 의지는 확고하다. 더 이상 이대로 놔두었다가는 모두 함께 망한다는 공멸의 위기감이 바탕에 깔려 있다. 그만큼 우리 경제가 위태롭다. 박근혜 대통령은 최근 내년 재정전략을 짜는 회의에서 “수술이 무섭다고 안 하고 있다간 죽음에 이를 수도 있다”며 “구조조정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과감한 지출 구조조정을 통해서 불요불급한 사업을 정비하고 여기서 마련된 재원으로 성장 동력 확충과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큰 사업에 투자하겠다는 것이다. 유일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기업 구조조정을 더 이상 미룰 수 없다”고 말했다. 5대 취약업종에 대한 구조조정은 선후(先後)의 문제일 뿐이지 하고 안하고의 문제는 결코 아닌 셈이다.
 
정부가 건설업을 경기민감업종에서 제외함으로써 건설업 구조조정은 결국 기업들의 자발적 의지 여하에 달려있게 됐다. 임종용 금융위원회 위원장이 “건설은 개별 기업 차원에서 상시적 구조조정에 집중할 것”이라고 말한 것도 바로 ‘스스로’에 방점을 찍은 의미로 풀이된다.
 
차제에 건설업은 자발적·선제적으로 구조조정에 나서 사업역량 강화를 위한 기틀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특히 단순한 경영정상화가 아닌 미래 경쟁력 강화를 위해 힘과 지혜를 모아야만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부실·불량 건설업체를 과감하게 정리해야 하며, 건설업 자체의 자정능력을 강화해야 한다.
 
정부가 개입하기 전에 스스로가 자발적·선제적으로 개별 기업에 대한 구조조정에 나섬은 물론 건설업 전체가 종합·전문 가리지 않고 더욱 더 공정한 경쟁의 무대가 되도록 힘써야 할 것이다. 그렇게 할 때 건설업은 과거의 ‘진흙탕’ 이미지에서 벗어나 역량으로 평가받는 미래지향적 산업으로 거듭 날 수 있다. 5년 후 또는 10년 후 후회하면 그때는 이미 늦다. 선제적이고 자발적인 구조조정의 지혜와 노력, 협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