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기술 취약해 해외 의존

해외기관에 맞춤형 교육 등
정부, 기본역량 강화키로

정부가 고부가 분야로 평가받는 엔지니어링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인력 양성과 제도 개선 등 역량 강화에 나선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9일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국토교통부, 미래창조과학부, 행정자치부, 기획재정부 등과 공동으로 ‘엔지니어링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고 밝혔다.

엔지니어링은 기획, 설계, 프로젝트 관리(PM), 유지 보수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 활동을 말한다. 부가가치가 높고 고용유발 효과도 크지만 그간 제조업이나 건설·플랜트 산업보다 주목받지 못했다.

실제로 우리나라는 기본 설계 등 고부가 엔지니어링은 대부분 해외에 의존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세계 시공 시장 점유율은 8.3%에 달하지만 엔지니어링 분야 점유율은 2.4%에 그친다.

정부는 우리나라의 엔지니어링 역량이 미흡한 것은 실무형 인재양성 교육과 수주 이력(트랙레코드) 부족, 가격에만 의존하는 사업자 선정 방식, 제조업보다 부족한 정부 지원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판단했다.

이에 정부는 고부가가치 영역 고급 인력을 양성하고 기술력 중심으로 제도를 개선하기로 했다.

우선 실무 훈련과 트랙레코드 구축 지원 등을 통해 엔지니어링 기본 역량을 강화하기로 했다. 엔지니어링개발 연구센터를 통해 3D 기반의 가상훈련 플랜트를 구축·운영하고, 원천 기술 역량을 보유한 해외 교육기관에 맞춤형 실무 교육 과정도 개설할 방침이다.

미국 페트로스킬스, 프랑스 IFP 등 국제적으로 널리 인정받는 민간기관의 교육시스템도 국내에 도입한다. 특히 프로젝트 관리 분야에서는 관련 교육 인력을 대상으로 자격 인증을 부여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엔지니어링 분야에서 사업자를 선정할 때는 기술배점을 상향하는 등 기술 중심으로 평가제를 개선한다. 총공사비 중 일정 비율을 엔지니어링 대가로 지급하는 현행 공사비 요율 방식을 세분화하고 개선해 추가 업무 등에 대한 대가지급이 원활하게 이뤄지게 할 계획이다.

또 엔지니어링 기술자 수를 점차 확대하고 엔지니어링기업 전용 수출보증도 확대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