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 분야에서 4차 산업혁명은
새로운 융·복합을 통한
시설물의 수요를 변화시킬 것이다
하지만 건설공급 차원의 노력은
아직 이뤄지지 않고 있다”

대선 레이스가 본격화됐다. 각 후보마다 정책공약을 내놓고 있는 상황에서 건설 정책 분야도 이러한 정책의 흐름에 민감할 수밖에 없으며, 이에 따른 대안과 새로운 정책아이디어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것이다. 

건설산업 정책은 크게 수요 차원과 공급 차원으로 구분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요즈음 4차 산업혁명이 큰 시대적 흐름으로 자리잡고 이에 따른 각 분야별 파급영향과 이에 따른 대응책을 모색하고 있다. 

건설산업도 마찬가지다. 이미 4차산업혁명 시대의 건설산업이라는 주제의 토론회, 세미나를 보더라도 잘 알 수 있으며, 각종 언론의 사설 등도 이 이슈를 중심으로 논하는 경우가 크게 증가했다. 

건설수요 차원에서 이러한 4차 산업혁명은 새로운 융·복합을 통한 시설물의 수요를 획기적으로 변화시킬 것이다. 이미 스마트시티, 도시재생, 스마트 인프라, 스마트 홈, 스마트 안전방재 등 4차 산업혁명에 따른 기술진화가 새로운 시설물의 수요를 유발하는 강력한 동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이에 따른 건설장비, 자재, 인력 등도 이러한 수요변화에 대응해, 진화와 발전을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 온라인-오프라인의 결합을 통한 가상현실의 실현이 국토공간 구조의 변화와 이에 따른 건설수요의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될 것으로 보이지만, 이에 대한 연구 분석은 아직 구체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어 어떤 세부 분야의 건설수요가 등장할 것인지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기술혁명으로 인한 건설생산 방식의 변화는 새로운 분야의 수요와 일자리 창출이 가능할 것이다. 보다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일자리의 창출과 이를 수용할 수 있는 인력 양성도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오프라인-대량생산 시대의 건설인력 양성 및 교육시스템이 온라인-소량생산 시대에 맞도록 전면적으로 개편돼야 한다. 

융·복합 기술 분야의 건설수요가 향후 크게 증가해 특정 영역, 분야의 업역만으로 이러한 수요에 대응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것이다. 융·복합 수요에 대응하는 융복합 대응생산체계의 정비는 기업 경쟁력의 핵심요소로 부각될 것이다.   

해외도시, 인프라, 플랜트 등 해외지역의 수요도 4차 산업혁명의 성과를 접목하면서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이다. 해외 부문에서의 경쟁력의 원천은 국내 건설산업의 경쟁력에 의해 좌우된다. 따라서 정부 차원에서도 4차 산업혁명 대응 미래건설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다음으로 건설공급 차원에서 살펴보자. 건설수요의 변화 전망에 대응해 우리나라 건설공급 차원의 대응체제는 제대로 갖추어져 있는가? 이에 대한 대답은 ‘아니오’이다. 

향후 건설수요의 변화에 대응하고, 수요변화를 촉진하는 차원에서 건설산업의 역할이 중요하다. 여러 분야의 혁신 기술과 정보, 자재, 문화 등이 융합돼 하나의 구축물을 생산하는 건설산업이야말로 실제 4차 산업혁명의 가시적인 성과(결과물)를 가장 잘 보여 주는 분야이기 때문이다. 

아울러 이러한 시설물의 지능화, 인간과의 소통은 종전의 건설산업의 영역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복합적인 문제를 제기한다. 드론 등으로 시공과정의 투명성이 제고되고 공사비 관련 정보의 축적, 시공현장의 작업상황의 실시간 파악 등으로 건설재해 감소 및 공사의 품질 향상, 건설생산성의 향상 등 여러 가지 생산공급 차원의 변화가 이루어질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변화에 대응하는 건설공급 차원의 변화 노력은 아직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기업 차원에서는 새로운 수요에 대응하는 공급전략을 모색하고, 이를 저해하거나 방해하는 요소에 대해서는 강력하게 정부에 요구하고, 무엇보다 정부의 입장에서는 기업의 다양한 활동이 제도적 장벽에 막혀 제약받는 상황은 발생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동시에 민관학연 공동으로 향후 건설수요와 공급체계상의 미스매치를 해소하고 정합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차 산업혁명의 성과는 기업의 생산성 향상 노력과 정부의 과감한 규제개혁이 함께 이루어질 때 가능하다. 건설산업 분야의 스마트 규제가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다. /국토연구원 주택토지연구본부장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