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5일 부산 해운대구의 한 숙박시설 공사에서, 지난달 23일에는 경기 남양주 다산신도시의 아파트 공사현장에서 타워크레인 관련 사고가 발생했다. 타워크레인뿐만이 아니다. 잊을만 하면 한 번씩 건설현장 중대 사망사고 소식이 대중에게 전해지고 있다.

건설현장의 안전 문제는 어제오늘 일은 아니지만 최근에 들어서 건설현장 사고소식이 많이 들린다. 고용노동부가 2016년도 산업재해 현황을 집계·분석한 자료를 살펴보면 작년의 재해율·사망만인율은 전 산업에서 전반적으로 감소했는데, 건설업에서만 증가했다. 건설업 재해 사망자 수는 2014년(486명), 2015년(493명), 2016년(499명)으로 해마다 늘고 있다. 고용부가 6월초 발표한 2017년 3월말 산업재해 발생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전 산업 사망자 489명 중 161명(32.9%)이 건설업에서 발생했다.

이에 고용부는 5월 한 달간 건설현장 추락재해예방 점검을 실시했다. 오는 7월31일까지는 타워크레인 사용사업장에 대한 기획감독이 이어진다. 이처럼 타워크레인 사용 현장에 대한 감독이 이뤄지고 있는 6월 중에도 부산에서 사고가 발생했으니 참으로 답답할 노릇이다.

고용부는 최근 몇 년간 아파트 건설현장이 늘어 안전관리가 취약한 중소 현장이 증가했다며, 이를 산재 관련 지표 상승의 이유 중 하나로 꼽고 있다. 또 “최근 건설 산재 소식이 많이 들리지만 늘어난 현장에 비하면 재해율이 증가하는 수준은 아니다”는 의견을 기자에게 귀띔하기도 했다.

산재를 줄이기 위한 확실한 대책이 필요할 때라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 ‘공사현장이 늘어 사고도 증가했다’는 단순해석만으로는 건설 산재를 줄일 수 없다. 건설현장에서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산재에 대한 구조적 원인을 밝혀내야 한다. 누군가의 아버지, 누군가의 남편, 누군가의 아들인 건설근로자들이 현장에서 더 이상 다치면 안된다.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