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로 인해 지난 17일 올해 두 번째 수도권 미세먼지 저감 비상조치가 시행됐다. 서울시의 경우 두 번이나 대중교통을 무료로 이용하게 조치했다. 그만큼 미세먼지로 인한 국민들의 고통이 크기 때문이다. 

아파트 청약 시 이른바 ‘숲세권’이라는 말까지 회자되는 등 도시숲에 대해 국민들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도시숲은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과 여름철 폭염 증가 문제에 대한 친자연적인 해결방안으로도 그 가치가 최근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 

본 의원이 산림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1ha(100m×100m)의 도시숲은 연간 총 168kg에 달하는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 물질을 흡수해 대기질을 개선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 도시숲은 도심보다 최대 3∼7℃ 기온이 낮아 열재해를 예방시킨다. 위성영상으로 기온차를 분석한 결과, 서울 홍릉숲은 주변 도시지역보다 표면온도가 최소 5℃ 이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숲의 큰나무들은 소음 10dB을 감소시켜 편안한 일상생활을 유지시켜 주며, 심리적 안정감과 스트레스를 해소시켜 준다. 숲에서 15분간 숲을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호르몬인 코티솔 농도가 15.8% 낮아지고 혈압도 2.1%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

도시 내 나무와 숲은 여름철 건물 내부로 들어오는 태양에너지의 90%까지를 차단하고, 실내온도를 약 11℃ 낮춰 주며, 가구당 8~12%의 냉난방 비용을 절감시킨다. 게다가 1인당 생활권도시림이 1㎡ 증가하면 전국 평균 소비전력량은 0.02MWh 감소하며, 특별시·광역시 내의 여름철 한낮 온도를 1.15℃ 감소시킨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세계 주요 도시의 1인당 생활권 도시숲 면적을 살펴보면, 독일 베를린 27.9㎡, 영국 런던 27.0㎡, 캐나다 밴쿠버 23.5㎡, 미국 뉴욕 23.0㎡, 프랑스 파리 13.0㎡, 중국 베이징 8.7㎡이다. 반면 서울은 5.3㎡로 매우 열악한 수준이다. 비록 전국적으로 1인당 생활권 도시숲 면적은 9.91㎡로 세계보건기구(WHO) 권장 1인당 생활권 도시숲 최소기준(9㎡)을 간신히 넘고 있지만, 인구가 밀집된 수도권 지역은 1인당 생활권 도시숲 면적이 서울 5.32㎡, 인천 7.56㎡, 경기 6.62㎡로 WHO 권장 1인당 생활권 도시숲 최소기준에도 못 미치고 있다.

도시숲 확대가 더욱 더 필요한 이 시점에 도시숲 조성 관련 예산은 되레 줄어드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09년 당시 944억원이었던 도시숲 관련 예산은 지난해 677억원 수준까지 줄어들었다. 이에 더해 도시숲 조성이 가능한 지역을 확보하는 것도 더욱 어려워질 전망이다. 2020년이면 개발되지 않은 공원 등 도시계획 시설에 대한 일몰이 이뤄지게 된다. 2015년말 기준, 10년 이상 장기 미집행 상태인 도시공원 면적 총 442㎢가 지주들에게 돌아가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전체 국민의 92%가 도시지역에 거주하고 있어 도시숲 조성의 필요성이 더욱 크다. 도시숲 예산은 다른 예산 증액보다도 우선적으로 논의돼야 한다. 특히 도시공원에서 해제된 산림지역에 대해 도시숲으로 건설하는 예산 확보가 절실하다. 이에 본 의원은 지난해 11월9일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경제부처 심사 시 2020년에 일몰될 장기 미집행 도시공원 문제는 시급함을 강조하면서 경제부총리에게 적극적·장기적 검토를 요구한 바 있다. 앞으로도 국회에서 도시숲 건설 예산 확대를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다. 

도시숲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더욱 더 필요한 시점이다. /황주홍 국민의당 의원(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 전남 고흥·보성·장흥·강진군)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