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개발구역의 지정 규모가 갈수록 소형화되고, 입지는 기존 도심에 인접한 곳으로 결정되는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는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 등을 대상으로 실시한 도시개발사업 현황조사를 바탕으로 2018년 말 기준 전국 도시개발구역 현황통계를 3일 발표했다.

◇구역지정 연도별 추이(그래프=국토교통부)

지난해 신규로 지정된 도시개발구역은 36개, 면적은 6.73㎢였다. 지정 구역 수는 최근 3년간 소폭 증가추세를 보였지만, 연도별 지정면적은 2013년 8.8㎢ 이후 감소세를 보이다 지난해 소폭 반등했다. 전체적으로 도시개발구역 지정 규모가 소형화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국토부는 설명했다.

2000년 이후 전국 도시개발구역 수는 492개, 총면적은 159.08㎢로 여의도 면적(2.9㎢)의 약 55배 규모였다. 경기도가 152개 구역으로 가장 많았고 충남(62개), 경남(57개), 경북(44개) 등의 순이었다.

지난해 신규 지정은 수도권에서 경기도가 14개 구역, 1.44㎢를 지정해 전체 36개 중 38.9%을 차지했다. 비수도권에선 22개구역에서 4.73㎢가 신규로 지정됐다.

사업유형별로는 주거형 면적이 2016년에 전체의 87.5%에 달했지만 최근에는 상업, 관광형 또는 주거·상업·산업 등 복합개발 형태가 늘어나면서 59.9%까지 하락했다.

개발입지는 도심과 평균 5.2㎞ 떨어진 곳에 들어서는 것으로 분석됐다. 전체 492개 구역 중 299개(60.8%)가 관할 행정구역 내 기존 도심으로부터 5㎞ 이내에 입지했다.

도시개발구역 지정 이후 사업완료까지는 평균 약 6년이 소요됐고, 3년 이하 20.6%(39개), 4~5년 33.3%(63개), 6~10년 36.0%(68개), 11~15년 9.5%(18개), 16년 이상 소요된 사업은 0.5%(1개)로 조사됐다.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