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코로나, 건설이 가야 할 길 ● 스마트인프라

5년간 총 76조 투입… SOC 디지털화로 일자리 6만5000개 창출 목표 
노후 공공건물 그린리모델링 등 그린뉴딜엔 3년간 5조8000억 투입
건설업계는 BIM·사물인터넷 등 디지털 건설기술 도입 활발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인프라 정책은 ‘디지털’과 ‘그린’ 두 가지로 요약된다. 향후 현장산업의 중점 전략으로 디지털·비대면 방식이 떠오르고 있고, 건강과 환경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정부는 이번 달 초 하반기 경제정책과 3차 추가경정예산안 등을 통해 한국판 뉴딜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디지털뉴딜과 그린뉴딜을 양대 축으로 향후 5년간 76조원이 투입된다. 이에 따라 그린리모델링·사회기반시설(SOC) 안전개선 사업 등이 활발히 진행될 전망이다. /편집자 주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달 2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비를 위한 제3회 추가경정예산안을 발표하고 있다. /뉴시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달 2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비를 위한 제3회 추가경정예산안을 발표하고 있다. /뉴시스

◇SOC 고도화 사업=디지털뉴딜은 SOC 디지털화, D.N.A생태계 강화, 디지털 포용 및 안전망 구축, 비대면 산업 육성 등 4개의 세부과제가 추진된다. 그중에서도 SOC와 첨단 기술을 결합하는 SOC관리 고도화 사업이 골자다.

우선 공공기관 주도의 도시재생혁신지구 등을 통해 주거·상업·산업기능이 융·복합된 거점사업 100곳 이상을 선정한다. 현재 추진 중인 284곳의 도시재생뉴딜 사업지 내 300개의 생활SOC 공급도 올해 하반기 진행한다.

SOC 디지털화를 위해서는 2022년까지 4조8000억원 규모의 재정을 투자해 일자리 6만5000개를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교통·수자원·공동구·재난대응 등 4대 핵심시설 디지털 안전관리체계 구축이 SOC 디지털화의 골자다.

◇녹색 전환 추진=그린뉴딜은 도시, 생활 인프라의 녹색전환을 목표로 2022년까지 5조8000억원을 투입한다. 공공시설 제로에너지화를 위해 어린이집(1058개소), 보건소(1045개소), 의료기관(67개소), 공공 임대주택(18만6000호) 등 노후 공공건축물을 대상으로 그린리모델링을 추진한다.

도시환경 문제와 관련해선 48개 광역상수도·61개 지자체 지방상수도에 대해 ICT 기반 스마트 상수도 관리체계를 구축한다. 12개 광역상수도 정수처리시설 고도화 및 노후상수도 개량사업도 병행한다.

또 스마트산단 내 위험물, 환경오염, 안전관리를 위해 사물인터넷(IoT), 지능형 CCTV, 유관기관 데이터를 연계 활용하는 통합관제센터 구축을 지원(60억원)하고, 공동물류센터에 스마트물류 플랫폼을 구축(30억원)한다.

◇창원시가 추진하고 있는 ‘디지털 SOC 뉴딜 프로젝트’ 실행방안 /자료=창원시 제공
◇창원시가 추진하고 있는 ‘디지털 SOC 뉴딜 프로젝트’ 실행방안 /자료=창원시 제공

◇발맞추는 건설업계=디지털화 그린에 초점을 둔 정책이 잇따라 발표되자 건설업계도 발 빠른 대응을 보이고 있다.

건설현장에서는 BIM(빌딩정보모델링), 클라우드, 사물인터넷(IoT),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모듈러 등 디지털 건설기술이 빠른 속도로 접목되고 있다.

주요 건설사들은 그린뉴딜, 신재생에너지 사업 분야에서 보폭을 확대하고 있다.

GS건설은 해수담수화 신재생에너지 기술 상용화를 위한 연구에 돌입했다. 호반건설은 새만금 육상태양광 3구역 발전사업을 수주했고, 한양도 LNG 사업에 본격 진출한다는 소식이다.

지자체들도 적극적으로 스마트건설과 뉴딜 도입에 나섰다. 서울시는 적극적인 스마트건설 환경 대응을 목표로 전국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스마트건설과를 신설하고 시범사업에 들어갔다.

그 외 경기, 경상, 전라 등 각 지방에서도 지역 여건에 맞춘 뉴딜사업 발굴에 힘을 쏟고 있다.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