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대 최장 장마가 건설산업에 남긴 과제 (하)
기후 영향 줄일 수 있도록
공장 작업 공정 확대 필요

◇재해 피해 수치화 작업=건설 관련 전문가들은 건설현장별로 재해 피해를 수치화하는 작업을 선행해야 한다는 조언이다. 기후변화를 고려한 계약제도가 재정비되기 전까진 스스로 피해를 입증해야 계약변경 등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피식스컨설팅 장대철 대표는 “주공정관리기법(CPM)을 통한 현장관리가 가장 중요하다”면서 “악재가 발생했을 때는 자료 수집이 필수다. 작업일지와 현장사진 등을 토대로 보고서를 미리 작성해야 피해를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토교통부 공사기간 산정기준 상 기후여건으로 인한 비작업일수 대비 올해 장마 기간을 단순 비교해 평년보다 추가된 비작업일수를 계산하고, 그에 따른 공사기간 연장을 인정받아야 한다”고 제언했다. 비작업일수 계산이 끝난 다음 파생된 문제점을 정리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올해처럼 코로나19와 기후변화 등이 겹쳐 공기연장의 원인을 한 가지로 특정할 수 없을 때는 ‘생산성 수치 변화’만이라도 작성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계약제도·정책방향 재정비=현행 계약제도와 공사비·공사기간 산정 등은 모두 ‘과거 공사’를 기준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향후 고착화될 기후변화를 감안해 재정비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된다.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이은형 책임연구원은 “간접비 증가, 근로자 이탈 현상 등까지 고려하면 세부적인 보상안 등을 담은 공사기준을 정해야 한다”며 “날씨의 유동성을 인정하는 범위를 대폭 확대한 계약제도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4차산업·정보통신(IT)에만 치중된 경제 발전 정책도 방향성을 다시 잡아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서울대학교 한무영 건설환경공학부 교수는 “스마트시티를 예를 들어보자. 밖에서 보일러를 켜고 끌 수 있어 스마트라고 하는데, 장마 때마다 침수피해를 입으면 그 스마트시티를 어떻게 ‘스마트’하다고 말할 수 있겠냐”고 역설했다.

◇현장과 기술발전의 조화=외부요인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건설기술을 현장에 확대 적용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된다. 제조산업과 같이 공장 작업이 가능한 공정을 늘리면, 기후변화가 가져올 악영향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예로는 △디지털 원격협의체계 △4D 시뮬레이션 △디지털 작업관리 △AI·로봇기술 △현장시공을 공장제작으로 전환하는 Off-site construction(OSC) 도입 등이 거론된다.

한편 이러한 기술적 발전을 거듭한다 하더라도 현장시공과 조화가 가장 중요하다는 목소리도 높다. 이은형 연구원은 “스마트건설 기술은 대량생산·동일한 품질을 추구하는 제조업 방식에 가까워지는 성격이 짙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하지만 건설업은 ‘찍어내기 식’ 생산이 아닌 디자인 등 고부가가치를 포함한 ‘단일 건축물’을 제조하는 경우도 많다”며 “때문에 스마트 건설기술과 현장시공 방식의 조화가 필요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