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연구원 보고서…“실행하기 쉬운 모델 보급해야”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핵심 주제로 ‘디지털 전환의 가속화’가 부각되는 가운데 상대적으로 접근성이 낮은 중소기업에 대한 체계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산업연구원은 2일 발표한 ‘디지털 전환의 중소기업 수용성 제고 방안’ 보고서에서 “중소기업은 디지털 전환 추진에 필요한 기술적 조건을 충족시키기 어렵고 제약요인도 적지 않다”며 “디지털 전환에 대한 중소기업의 수용성을 높이도록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시스코가 최근 아시아태평양 중소기업의 디지털 성숙도를 조사한 결과, 한국은 14개국 중 6위로 중위권에 머물렀다. 작년 조사와 비교하면 순위는 한 단계 하락했다.

특히 한국은 다른 국가에 비해 ‘변화에 대한 문화적 저항’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인재 부족도 문제로 꼽혔다. 아태지역 전체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 단계는 4단계 중 2단계(디지털 관찰자) 이하로 낮은 수준으로 평가됐다.

지난해 중소기업연구원이 실시한 국내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 실태조사 결과에서도 중소기업(3.49∼3.76점)은 대기업(6.58점)과 디지털 성숙도 격차가 크게 벌어졌다.

업종별로는 제조업(3.57)이 서비스업(5.21)보다 디지털 성숙도가 낮았다.

산업연구원은 “이 같은 조사 결과는 제조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 정도가 상대적으로 미흡하며, 기업규모가 크고 기업이 시장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정도가 높을수록 디지털 전환 정도가 높을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산업연구원은 국내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 수준이 높지 않고 내용도 미흡한 상황에서 디지털 전환에 필요한 많은 기능적 조건을 충족해야 하는 게 부담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 편익이 불확실하고 제약요인이 적지 않아 디지털 전환을 위한 투자 유인이 미흡하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디지털 전환이 기회의 창으로 부각되고 있지만, 중소기업의 경우 거대한 구조 변화의 흐름 속에서 혁신 지체로 인해 성장이 더뎌지는 위험성에 직면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산업연구원은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려면 기대 편익에 대한 구체적인 비전을 제시하고 체계적인 실태 파악 및 정책 반영을 통해 중소기업의 수용성을 높이는 것이 관건”이라고 밝혔다.

이어 “공공연구기관을 활용해 중소기업이 실행하기 쉬운 디지털 전환 모델을 만들어 확산하고, 운용 역량 제고를 위한 내실 있는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크게 확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연합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