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지 특성 따라 풍력은 경북, 태양광은 호남이 주도
업계 “전력계통 인프라 구축 등 동반돼야”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정책에 힘입어 재생에너지 발전설비는 빠르게 늘고 있지만, 전체 발전량에서 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은 여전히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발전설비의 양적 성장도 중요하지만, 전력계통 인프라 구축 등 질적 성장도 동반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4일 한국에너지공단이 최근 발표한 ‘신·재생에너지 보급통계’에 따르면 2019년 기준 국내 재생에너지 신규 설비용량은 4485MW로, 전년보다 약 2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에너지원별로는 태양광 신규 설비가 3789㎿로 84.5%를 차지해 압도적이었고 바이오 290MW(6.5%), 풍력 191㎿(4.3%) 순이었다.

지역별로 보면 일조량이 풍부한 전남·전북 지역이 태양광 신규 설비 보급량 가운데 약 36%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충남은 15.9%, 경북 12.0%, 경기 8%, 강원 7.2% 등이 뒤를 이었다.

풍력 발전설비는 경북 지역의 신규 설치 비중이 78%로 가장 많았고 제주 13%, 전남 9%로, 사실상 세 지역에 몰려있었다. 이들 지역이 풍력발전에 가장 적합한 입지라는 방증이기도 하다.

이로써 2019년 기준 국내 누적 재생에너지 설비용량은 총 2만3171MW로 ‘재생에너지 2030 이행계획’이 수립된 2017년(1만5703MW)보다 50% 가까이 증가했다.

전체 발전설비 용량 중 신재생에너지 비중도 2017년 12.9%에서 2년 만에 17.7%로 상승하는 등 탄탄한 성장세를 이어갔다.

하지만 재생에너지가 전체 발전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여전히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전 전력통계속보 등에 따르면 2019년 신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전력량은 3만6692GWh로 전체 전력생산량 중 6.5%에 불과해 전년(6.2%) 대비 소폭 증가하는 데 그쳤다. 2020년에도 1∼11월 기준 이 비중은 6.9%였다.

업계는 이런 현상에 대해 전력계통 설비 확충 속도가 신재생에너지 보급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것을 주된 원인으로 꼽는다.

송·배전망 관련 설비 증설에는 계획단계부터 배전선로 및 변전소 건설까지 오랜 시간이 걸린다. 이로 인해 발전 개시도 지연돼 발전사업자들의 수익성도 악화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산업통상자원부도 재생에너지 확대에 대비해 인프라 보강 및 확대를 준비 중이다. 지난해 말 확정된 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르면 산업부는 재생에너지 집중지역의 송전선로 보강 등 재생에너지 밀집 지역별 맞춤 대책을 본격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에너지업계 관계자는 “최근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가격 하락, 전기요금특례 할인제도 일몰 등으로 인해 신재생에너지 사업자들이 이중고를 겪고 있는 상황”이라며 “발전설비량만 늘릴 게 아니라 선제적인 계통 인프라 구축 등 기존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들이 생존할 방안을 고민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연합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