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5월 이후 7차례 연속 동결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연 0.5%로 동결했다. 국내 경제가 수출과 투자를 중심으로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내수 부진 등 불확실성이 높다는 진단 때문이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는 15일 서울 중구 한은 본부에서 정례회의<사진>를 열고 기준금리를 현재의 연 0.5% 수준으로 동결했다.

한은은 지난해 3월 기준금리를 1.25%에서 0.75%로 내리고 같은해 5월 사상 최저 수준인 연 0.5%로 낮춘 뒤 이달까지 모두 7차례 연속 같은 수준을 지속했다.

국내 경제가 반도체 등 IT부문을 중심으로 수출은 회복되고 있지만 코로나19로 민간소비가 부진한 등 내수가 위축된 가운데 고용이 얼어붙어 있어 동결이 불가피 하다는 판단이다.

3월 취업자수는 전년 동월 대비 31만4000명 증가해 13개월만에 증가세로 전환했지만 실업자는 사상 최대치인 121만5000명에 달했다. 또 코로나19 여파로 소비지표인 소매판매액지수도 최근 두 달 연속 마이너스 등 실물 경기 불확실성이 여전한 상황이다. 한은이 국내 경제가 안정적 회복세를 이어가고 있다고 보고 현재의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를 거둬 들이기 힘든 이유다.

코로나19 재확산 여부와 백신 접종 속도 등에 따른 변수도 여전하다. 지난 14일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는 731명이다. 방역당국이 코로나19 재확산을 우려해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를 강화할 경우 민간 소비 회복 속도가 현재보다 더 더뎌질 수 있다.

다만 가계부채가 급증하고 있는데다, 저금리 기조로 주식, 부동산 등 금융자산 가격 상승을 부추겨 실물 경기와 금융자산 가격간 괴리가 커지고 있다는 우려는 한은의 완화적 통화정책 운용에 부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가계부채는 지난해말 기준 1726조1000억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인한 물가 압력 우려도 커지고 있다. 3월 소비자물가는 농수산물 가격, 국제유가 상승 영향으로 전년 동월 대비 1.5% 상승했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그동안 현재의 완화적 통화정책에 변화를 줄 생각이 없다는 입장을 시장에 수차례 전달했다. 이 총재는 지난달 24일 출입 기자단과의 ‘주요 현안에 대한 문답’을 통해서도 “아직은 실물경제 활동이 잠재 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인 만큼 우리 경제가 코로나 19 충격에서 벗어나 정상 궤도로 복귀했다고 보기는 어려워 현재로서는 정책기조를 서둘러 조정할 상황은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며 금리인상 가능성을 일축했다. /뉴시스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