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몇 년 사이에 그린 뉴딜(Green New Deal)이 대세로 자리잡고 있다. 현재 지구촌이 직면한 기후위기에 대응하고, 녹색 일자리 창출을 통한 저탄소 경제로 가는 길이 그린 뉴딜에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한국은 지난해 5월 관계부처 합동으로 ‘한국판 뉴딜’의 포괄적 추진 방향을 제시하며, 일찌감치 그린 뉴딜에 나섰다. 미국도 조 바이든 대통령이 올해 취임하면서 그린 뉴딜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이에 글로벌 기업들도 저탄소 경제를 위한 그린 뉴딜에 화답하고 있다.

하지만 건설업계는 아직도 그린 뉴딜 시대로의 전환을 실감하지 못하고 있다. 정부가 2025년까지 도시·공간·생활 인프라 녹색 전환에 30조원이 넘는 예산을 투입하기로 했는데도 아직 ‘막연한 수혜’만 기대하는 상황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파괴를 통한 창조산업인 건설업의 경우 그린 뉴딜과 맞지 않는다는 선입견에 따른 것인지도 모른다. 문제는 건설업계가 그린 뉴딜을 제대로 정립하지 못할 경우 전체 산업에서 보조 역할에 그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건설업계도 그린 뉴딜에 발 빠르고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당장 국토교통부와 지자체에서 추진하는 그린 산업 활성화에 적극 참여해 친환경 건설업 활성화에 나설 필요가 있다. 국토부가 추진하는 노후 어린이집, 보건소, 의료기관 등 공공건축물과 공공임대주택 그린 리모델링 등의 분야다. 또 지자체의 생활 인프라 구축, 도시숲 보전과 만들기 사업 등도 그린 뉴딜 대상이다.

건설업계는 더 나아가 ‘건축물 그린리모델링 법(가칭)’ 제정 활동은 물론 건축물 관리 관련 법의 개정 활동을 통한 그린 뉴딜 적용에 힘을 합쳐야 한다. 또 건설업계 차원에서 각종 기반시설의 그린 뉴딜 적용을 위한 스마트 건축물 유지관리 플랫폼 구축에도 나서야 한다. 현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생활SOC와 도시재생사업도 그린 뉴딜의 핵심인 만큼 이의 활성화를 위한 토대 구축에 나서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통로를 통한 예산 확보가 필요하다. 대형 인프라도 그린 뉴딜에서 예외가 아니다. 도로와 철도 등에 그린 뉴딜을 적용해 저탄소 인프라 구축을 선도할 필요가 있다. 이는 건설업계의 그린 뉴딜에 대한 이해를 통한 예산확보 노력이 수반돼야 한다.

그린 뉴딜은 미래 건설에서 피할 수 없는 대세다. 친환경 건축 확산, 건설안전·유지관리 서비스 강화 등 건설산업 곳곳에 적용되기 때문이다. 특히 밀집한 도시의 고품격화에도 그린 뉴딜을 적용한 살기 좋은 환경 구축에 나서야 한다. 주거시설에도 그린 뉴딜을 구체적으로 적용해야 한다. 이제는 공사 기간을 단축하고 탄소 배출을 최대한 억제하는 주택건설로 나아가야 하기 때문이다. 주거시설 그린 뉴딜은 모듈러 주택에 해법이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이에 따라 건축법과 주택법을 바꿔서라도 모듈러 건축 활성화에 나서는 것도 그린 뉴딜에서 건설업이 주도권을 확보할 수 있는 길이라는 생각이다. 실제 대한건설정책연구원에 따르면 모듈러 건축은 미래형 건축시스템이다. 자재의 평균 재활용률이 82.3% 수준에 이르고, 폐기물 처리비용이 기존 공법 대비 약 40% 이하로 감소해 그린 뉴딜에 적합한 건축산업이다.

이제 건설업계도 친환경 중심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이 화두가 되고 있다. 친환경 건설사업을 미래 성장동력으로 삼고 ‘그린 건설사’로 도약하는 길을 찾고 있는 것이다. 대형건설사는 물론 중견·중소 건설사도 확고한 ESG 경영 없이는 도태의 위기에 처할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건설인들이 다가오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친환경 건설산업을 통해 그린 뉴딜을 선도할 것을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