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 코로나 시대, 수요자 맞춤형 대안주거의 역할과 미래’
건산연·한국부동산개발협회, 15일 공동 개최 세미나서 제기

급변하는 주거수요와 주택시장 안정을 위해 오피스텔, 도시형생활주택, 생활숙박시설, 기숙사 등 다양한 유형의 대안주거 공급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과 한국부동산개발협회는 15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Post 코로나 시대, 수요자 맞춤형 대안주거의 역할과 미래’ 세미나를 공동으로 개최하고, 주거수요 변화 속에서 대안주거의 역할이 중요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성환 건산연 부연구위원은 세미나에서 ‘대안주거의 공급 및 주택가격 안정 효과’를 주제로 발표했고, 이어 이태희 부연구위원이 ‘포스트 코로나19 시대의 대안주거의 필요성’에 대해 설명했다. 끝으로 허윤경 연구위원은 ‘대안주거의 제도 방향 모색’ 주제 발표를 이어갔다.

김성환 부연구위원은 아파트 등 기존 주택과는 달리 오피스텔과 도시형 생활주택, 생활 숙박시설, 기숙사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주거수요를 포괄하기 위해 나타난 거처를 대안주거라고 정의했다.

아울러 “지난 2005년 이후 지금까지 수도권에 공급된 대안주거 시설은 약 82만5000호에 달한다”며 “이는 같은 기간 수도권 주택 준공물량의 24%에 달한다”고 설명했다.

김 부연구위원은 “수도권에서 오피스텔 등 대안주거의 공급은 주택 대비 24% 수준에 달해 보완재가 아니라 대체재로 보는 것이 더 적절하다”며 “대안주거 공급으로 아파트로의 수요 집중을 일정 방어함으로써 시차를 두고 주택 가격 안정에 기여했다”고 언급했다.

이태희 부연구위원은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며 공간이용 트렌드가 급변하고 과거에 없던 새로운 수요가 폭발하고 있으나, 시대에 맞지 않는 제도와 중첩된 규제로 수요 변화에 능동적 대응이 어렵다”고 지적했다. 또한 그는 “주거공간 공급에 있어 대안주거의 역할을 재평가하고, 시대 변화에 맞게 제도를 업데이트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마지막으로 허윤경 연구위원은 “도심의 상업지역과 준주거지역에 대해서는 용도 혼합의 자율성을 보장하고 고밀 개발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