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52시간제 시행을 앞두고 중소기업들의 유연한 운영방안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제도개선에 대한 노력은 이어가더라도 전문인력 확보 등의 대응방안 마련도 함께 선행돼야 한다는 것이다.

중소벤처기업연구원은 28일 ‘주 52시간제’ 관련 중소기업의 대응방안에 관한 보고서를 발표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를 보면 주 52시간제 적용을 받는 5~299인 이하 사업장은 82만2314개사, 근로자 수는 929만369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체 주 52시간제 적용 사업장 및 근로자 수의 각각 99.6%, 79.1%를 차지하는 수준이다.

국내 일부 중소기업은 벌써 근로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교대근무제, 유연근로시간제, 업무효율성 증진, 근로시간 강화, 일과 가정의 균형 방안 등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중소기업계에서는 주 52시간제 시행과 관련해 유연근로시간제와 특별연장근로 등 제도적 개선이 여전히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이런 부분을 감안해 보고서는 각 산업 특수성을 감안한 유연한 운영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보고서는 주52시간제 전면시행을 계기로 중소기업이 △인식전환 △생산성 향상 △기업문화 개선 △청년 인재의 확보 및 유지 강화를 위한 전략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특히 주 52시간제에 대해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좋은 기회’라는 중소기업 CEO의 인식전환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유연근로시간제 도입 등을 통한 근로시간 단축이 기업성과와 기업매력도를 높이고 전문인력 확보·유지·개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중소기업 CEO가 생각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아울러 보고서는 중소기업이 자체적으로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노잔업데이 실시, 업무효율화 방안 추진, 종업원 교육 확대 등 다양한 방안들을 마련해 추진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그리고 더나가 주 52시간제 도입을 단순히 근로시간제의 변화에 국한하지 않고,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이를 기업문화 개선의 계기로 활용해야 하고, 청년 인재의 확보 및 유지 노력과 적극 연계할 것을 제안했다.

연구원 관계자는 “중소기업은 주 52시간제의 전면시행을 위기가 아닌 기회로 인식하고 적극적으로 대응할 필요하다”며 기업들의 사고변화를 주문했다.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