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광역시·도 간 경제력, 혁신 능력, 재정 등 여러 부문에서 격차가 벌어짐에 따라 지역경제 활성화 정책의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현대경제연구원은 25일 발간한 ‘지역경제의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연구원은 전국 17개 광역시·도 경제를 지역 내 총생산(GRDP), 일자리, 혁신 능력, 재정, 인구 등 5개 부문에 걸쳐 비교했다.

1990년부터 2019년까지 전국 17개 광역시도의 GRDP를 보면 중 경기, 충북, 충남, 제주는 전국 GRDP 대비 비중이 확대됐으나 나머지 13개 광역시·도는 비중이 하락했다.

특히 경기도는 전국 GRDP 대비 비중이 1990년 16.4%에서 2019년 24.9%로 8.4%포인트(p) 증가했다.

서울·경기 지역은 전체 GR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19년 47.4%로 약 5.1%p(1990년 42.3%) 상승한 반면 경남의 GRDP의 전체 대비 비중은 10.6%에서 5.9%로, 강원은 3.5%에서 2.5%로 각각 하락했다.

일자리 부문을 살펴보면 전국의 주민등록인구 1000명당 종사자 수가 2006에서 2019년 사이에 123.2명 증가했으나 부산, 대구, 인천, 광주, 울산, 경기, 경남, 제주 등 8곳은 종사자 수 증가 규모가 전국 수준에 미치지 못했다.

또한 광역시·도의 혁신 능력 부문에서도 종합지수가 제일 높은 경기를 100으로 잡았을 때 서울, 대전, 경북 3곳을 제외한 13개 광역시·도 모두가 평균 수준인 47.1%를 밑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원은 이어 재정자립도는 세종을 제외한 16개 광역시·도가 2015년에서 작년 사이에 약화됐다고 진단했다.

2020년 지역별 인구를 비교해보면 서울, 부산, 대구, 광주, 대전, 전북, 전남, 경북 등 8개 광역시도에서 2010년에 비해 주민등록 기준 인구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원은 “다수의 광역시·도는 현재의 경제 여건은 물론 미래의 성장 기반이 상대적으로 미흡한 가운데 인구 유출 현상까지 보이고 있다”며 “기존 지역경제 활성화 정책을 재평가해 영향력이 큰 사업을 발굴하고 투자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을 도출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