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중소도시 특화형 재생 추진방안’ 보고서 발간

지역 특성과 무관한 대도시 중심의 도시재생사업 추진 방식이 중소도시 재생사업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토연구원은 주간 국토정책 브리프 ‘지방 중소도시 특화형 재생 추진방안’ 보고서를 통해 6일 이같이 밝혔다.

연구원은 현재의 도시재생사업 추진방식이 대도시에서 출발해 발전·세분화돼 왔기 때문에 지방 중소도시 여건과 잠재력을 반영한 재생사업 추진에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는 현재 재생사업의 경우 지역 특성과 무관하게 유사사업을 추진하는 것뿐만 아니라 지역산업과의 연계도 미흡하다는 게 연구원의 설명이다.

특히 도시 유형별 쇠퇴 특성이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현재 대부분의 도시가 유사한 재생사업을 추진함에 따라 현장에서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연구원은 인구유출 방지 등 지방 중소도시가 직면한 쇠퇴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사업 프로세스 중심의 지역산업을 강조하는 재생모델 차별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정은 도시재생연구센터장은 “2차·3차 산업 기반의 인구유지 도시는 외곽개발로 인한 원도심 쇠퇴가 심화되고 있다”며 “제조업, 전문과학·기술 서비스업과 연계한 재생사업 발굴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또한 1차·3차 산업 기반의 인구유지 도시는 원도심은 주변지역 거점 역할을 담당하므로 농업·서비스업 특화와 연계한 재생사업 발굴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이와 함께 박 센터장은 “지방 중소도시 재생은 현행 모듈화된 매뉴얼 형태를 지양하고, 지자체가 지역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진단을 토대로 지역 특성을 살린 유연한 계획과 사업방식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대한전문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